두돌아기 밤잠 재우는데 평균 2시간이 걸려요
곧 27개월아기인데 밤잠 재우는데 평균 2시간이 걸립니다..
전에는 1시간이면 무조건 잤는데 한달전부터 1시간30분에서 2시간정도 걸립니다 ㅠㅠ
8시30분에 같이 침대에 들어가서 책을 20분정도 보고 이제 자자~하면 안잔다고 떼쓰거나 혼자놀거나 아니면 저보고 누워있지말라고 그럽니다
그래서 같이 대화도 하고 놀아주기도하는데 안해주고 자자고하면 안졸려 안잘거야~!하고 우는데 참 ㅠㅠ
어떻게 해야할까요?ㅠㅠㅠㅠ
두돌아기를 재우는데 2시간 정도가 소요되니 힘이 들고 걱정이 되겠습니다.
적절한 수면루틴을 만들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27개월 아이가 밤잠에 드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발달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변화입니다. 아이는 자율성과 표현력이 커지며 수면 전 활동을 늘리고 싶어하고,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안정감을 확인하려는 욕구도 강해집니다. 이 시기에는 수면 루틴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 읽기, 조용한 대화, 불빛 줄이기 등으로 점차 수면 환경을 조성하고, 아이가 잠자리에 드는 시간을 놀이 시간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면서도 “이제는 자는 시간”이라는 경계를 분명히 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부모가 흔들리지 않고 일관된 태도를 유지할 때 아이도 점차 적응해 갑니다. 인내심을 갖고 아이의 발달 신호로 받아들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7개월이면 자율성이 강해지고 안잘래 시기가 와서 그렇습니다. 잠투정이 아니라 발달 단계의 변화입니다. 해결책은 일단 루틴 단순화힙니다. 책 1-2권만 읽고 '책 다 보면 불 끄고 잘거야'라고 미리 약속합니다. 잠자리 놀이(대화,놀이)는 피하고 조용한 목소리로만 반응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두 돌 전후에는 자율성이 강해져서 안 잘 거라는 반응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어요.
너무 오래 누워 있으면, 아이도 지쳐서 더 각성이 되므로 잠자리 전에 루틴을 줄여 보시기 바랍니다.
책을 읽고 불을 그는 등 이제 잘 시간이라는 신호를 반복적으로 주는 게 좋습니다.
낮잠 시간이 늦거나, 길면 밤잠이 밀리므로 낮잠을 조금 앞당기거나 줄여 보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도 엄마가 옆에 있어주는 시간에 안정감을 느끼게 하면 점차 짧아질 수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