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복용 후 질염 증상,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최근 감기로 항생제를 복용했는데, 그 후 질염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가려움과 불편함이 심한데, 병원에 가기 전에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항생제와 질염의 관계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항생제 복용시 질내 세균총의 균형도 무너져 질염에 잘 노출될수 있습니다 배를 따뜻하게 해주시고 질유산균 드셔보세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우리는 대부분 세균을 나쁜 것으로 생각하지만 몸 안에 정상적으로 살고 있는 정상상재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질도 마찬가지로 정상상재균이 있습니다. 질 안에서 살고 있는 균들은 대부분 유산균으로, pH 4.0~4.5 정도로 질내를 산성 환경으로 만들어서 유해균이 못 들어오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항생제를 복용하는 경우 우리가 타겟으로 하는 유해균들도 죽이지만, 이렇게 질 내에 정상적으로 살고 있는 유산균도 같이 죽이게 됩니다. 이 경우에 질염이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를 복용하면 칸디다 같은 곰팡이가 질에 증식하기 쉽습니다. 항생제 뿐 아니라 몸의 면역력이 약해지는 여러 상황에서도 칸디다 질염이 잘 발생합니다.
질염의 경우에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보다는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고 적절한 약을 처방받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법입니다. 가까운 시일 내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진료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항생제 복용 후 질염은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가 질 내 유익균까지 제거하여 pH 균형이 깨지기 때문입니다. 병원 방문 전에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고, 면 속옷을 착용하며 꽉 끼는 옷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무향, 무자극성 제품을 사용하고, 요구르트를 섭취하거나 질 내 적용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다면 지체 없이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5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항생제는 신체내의 세균에 영향을 주게 된느데 정상 세균총인 장, 질에 있는 세균들에게도 영향을 주면서 이익균들이 약해지면 그곳을 질염을 일으키는 세균들이 번식하게 되면서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유산균 제제를 처방받기도 하는데요, 정도에 따라 가급적 병원 내원해서 항생제를 중단 변경 고려하는 등 진료를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