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산억제제를 단약한 뒤 11일째인데, 언제 위산이 나올까요?
속쓰림이 너무 심해 응급실에 다녀온뒤부터 위산억제제를 11주 정도 복용했습니다. 중간 중간 괜찮아져서 단약하고, 산반동이 와서 다시 복용하기를 2차례 반복했습니다.
그사이 약도, 라베원에서, 케이캡, h2차단제등으로 변경했습니다.
도저히, 위궤양인지 위염인지 궁금하여, 8월 5일 다시 내시경을 하고 위궤양이 아닌 미란성위염임으로 나왔고, 의사선생님께서 모든 약( h2차단제, 위장운동조절제)을 끊으라고 하셨습니다. 이정도 소견에는 자신은 처방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이 약들을 단약한 뒤 위산도 나오지 않는 것 같고, 위장 운동이 거의 되지 않아 소화가 안됩니다.
그래서, 약 3~4일 정도 참다가 위장운동조절제를 먹기 시작했습니다. 이 약을 안먹으면 위에서 장으로 음식물이 전혀 내려가지 않는 느낌이 들어서요.
질문은
1. 위산억제제를 장복한 뒤에는 위산이 원래대로 잘 나오지 않는지요? 산반동을 걱정했는데, 위산이 나오지 않는 것 같습니다.
2. 위산억제제를 먹으면 위장운동도 잘 안되나요? 아님 저만 그런가요? 인터넷카페들을 살펴보니, 저처럼 위산억제제를 오래 복용한 사람들이 소화불량으로 몸무게가 많이 빠지는 현상을 겪던데, 위산이 복귀되면 자연히 위장운동도 되나요?
1. 위산억제제를 장복 하였더라도 약물 중단 후 지속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다시 위산이 분비가 됩니다.
2. 위산억제제를 복용하는 것과 위장 운동은 크게 관계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1. 위산이 나오는지는 검사 없이 본인이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습니다.
2. 위산억제제에 의해서 위의 연동운동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ㄱ과도한 위산을 줄여주는것이지 위산을 아예 안나오도록 하는건 아닙니다
위산억제제를 먹는다고해서 위장운동이 감소되는것도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김기덕 의사입니다.
위산억제제를 중단하면 다시 위산 분비가 증가합니다.
히스타민 차단제의 경우 복용 중에도 위산 분비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구요.
라베원 같은 경우에는 약을 중단하면 바로 위산 분비가 증가합니다.
위산억제제를 복용한다고 위장 운동이 저하되는 것은 아닙니다.
위장관 운동이 저하되었다면 다른 약들이 원인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