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노란누에137
노란누에137

탱자나무 장미 등등 가시가 잇는 식물에 대해서 궁금해용

탱자나무 장미 등등 가시가 잇는 식물에 대해서 궁금해용 다른 나무들은 가시가 없는데 장미나 탱자나무같은 식물은 가시가 있자나요? 선인장도 그렇구용 이것도 일종의 살아 남기위해 이렇게 진화된건가용?? 그렇다면 일반적인 식물에 비해 좀더 진화된 식물로 볼수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가시의 주요 기능은 식물을 먹으려는 동물들로부터 식물을 방어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장미나 탱자나무의 가시는 동물들이 식물의 부드러운 부분을 먹는 것을 어렵게 만들어 줍니다. 선인장의 경우, 가시는 물을 저장하고 있는 조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사막 같은 건조한 환경에서 선인장의 체내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줄이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진화적 관점에서 볼 때, 가시를 지닌 식물들은 반드시 '더 진화된' 식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이들은 자신들이 처한 환경에 특화된 진화적 적응을 이루어낸 종들입니다. 진화는 종의 '개선'이 아니라 특정 환경에 대한 '적응'의 과정입니다. 따라서 가시가 있는 식물들은 그들의 생존 전략에 있어서 특정 환경에서 유리한 적응을 한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다른 식물들과 달리 탱자나무, 장미, 선인장 등이 가시를 가지고 있는 것은 진화의 과정에서 생존을 위한 전략이었습니다.

    가시는 초식 동물들에게 뜯어먹는 것을 막아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특히 선인장처럼 건조한 환경에서 사는 식물들은 넓은 잎 대신 가시를 가지고 있어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생존에 유리하죠. 게다가 선인장의 가시는 햇빛을 흡수하여 광합성을 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가시를 가진 식물이 일반적인 식물보다 더 진화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진화는 더 낫거나 나쁘다는 개념보다는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즉, 가시는 특정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한 특징이지만, 모든 환경에서 유리한 것은 아니며 식물들은 가시 외에도 독성 물질, 강한 향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보호하고 번식했습니다.

    따라서 가시는 식물들이 살아남기 위해 선택한 다양한 생존 전략 중 하나일 뿐, 모든 식물이 이러한 방향으로 진화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선인장은 사막처럼 건조한지역에서 수분손실을 막기위해 잎을 가시형태로만들어 기공을 거의없앤 식물입니다.

    특정지역에서 살아남기위해 진화되었다고 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가시가있는 식물들은 동물들의 접근을막아 개체손상을 막기위함도있고, 상처를내어 피를 내고 다른동물이나 곤충이 꼬이게해 꽃의 수분을 돕게하기위해서 라고합니다.

  • 가시가 있는 식물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거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한 결과입니다. 장미나 탱자나무의 가시는 초식 동물의 공격을 방어하고, 선인장의 가시는 물 손실을 줄이고 햇빛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건조한 환경에 적응합니다. 이런 특징은 특정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하도록 발달한 것이며, "더 진화된" 것이 아니라 환경에 적합하게 다른 방향으로 진화한 결과로 봐야 합니다. 각각의 진화는 해당 식물이 처한 생태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생존을 위한 자기방어책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적들로부터 보호 그리고 수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탱자나무나 장미의 가시는 초식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제입니다. 선인장의 가시는 건조한 환경에서 수분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가시 유무는 진화의 정도가 아닌, 각 식물의 생존 전략에 따른 적응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가시가 있는 식물들은 주로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진화되었다고 추정되요

    이는 생존 전략의 하나로 일반적이 식물과 비교해 더 진화된것으로 보여진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