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주가 본주보다 비싸면 살 가치가 없나요?
종종 우선주가 본주보다 주당 가격이 높은 경우를 봤습니다. 우선주는 배당 받으려고 사는건데 이런 경우에는 본주를 사는게 합리적일까요?
우선주가 본주보다 비싸더라도 살 가치가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우선주는 일반적으로 배당 우선권이 있어, 배당 지급 시 본주보다 우선적으로 배당을 받을 수 있으며, 때로는 더 높은 배당률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선주는 의결권이 제한되거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우선주의 가격이 본주보다 높은 이유는 배당 매력이 크다고 평가되거나 특정 시점에서 수요가 높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목적에 따라 본주와 우선주를 선택해야 합니다.
배당이 중요한 경우 우선주가 적합할 수 있지만, 의결권이나 장기적인 주가 상승을 기대한다면 본주가 더 나을 수 있습니다.
가격 차이만으로 판단하기보다는 배당률, 투자 목표,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1. 배당 수익률: 우선주의 배당 수익률이 본주보다 높다면, 우선주를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높다면 배당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2. 주가 상승 잠재력: 본주는 일반적으로 주가 상승의 잠재력이 더 크기 때문에,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본주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3. 리스크: 우선주는 파산 시 본주보다 우선적으로 배당을 받을 수 있지만, 주가 상승의 기회는 제한적입니다. 본주는 더 높은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지만, 그만큼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우선주도 주가가 오르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 배당수익률 자체가 더 높아서 주가가 좀 더 높아도 배당금 자체는 더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에 계산을 좀 더 잘 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각각 배당 수익률이 얼마인지 보고 현재 주가에 비해 얼마를 받을 수 있겠는지를 따져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에서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배당이 좀더 높은 수준정도의 권리가 부여된 참가적우선주나 당해 영업 연도에 소정의 우선배당을 받지 못할 경우 다음 영업연도에 이를 보상받을 수 있는 누적적 우선주가 대다수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대다수 보통주보다 배당에서 크게 차이가 나거나 10%이상 배당수익률이 나오는 경우가 특별히 당해연도 수익이 높게 나오는 경우를 제외하면 보기도 힘듭니다. 거기다 말씀하신것처럼 의결권도 없습니다. ( 우선주도 의결권을 부여할 수 있지만 국내 상장기업에서는 사례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우선주가 갑자기 보통주보다 의레적으로 몇배이상 급등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이는 거래량이 거의없어서 몇십억의 자금대로 물량을 잠기거나 유동성이 부족해서 급등락하기 쉬운 환경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수급에 의해 단기적으로 급등락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우선주가 특별한 가치가 있어서 오른다고 보기 힘들때문에 이런 경우 조심스럽게 매매하는게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선주가 본주보다 비싸다면
대부분 투기적인 움직임에 의하여 해당 주가가 상승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보통 잘못된 것으로 그렇기에 가급적 투자는 피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속적으로 우선주가 높은 경우도 있고, 더욱 더 우선주만 상승하는 경우도 간혹 있기에 우선주를 살 가치가 없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