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세 부담에 대해 궁금합니다.
보통 실생활에서 여러 거래들을 하다보면 흔히들 부가세 별도라고 하면서 정가 + 부가세 10% 를 구매자에게 부담시키는데, 이게 정상이 맞는건가요..?
합법인건지 불법인건지 알고 싶습니다.
전문가분들의 빠르고 정확한 답변 미리 감사드려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
부가세를 부담시키는 것 자체는 합법 및 정상입니다. (슈퍼에서 물건을 사도 부가세가 포함되어있습니다.)
다만, 현금과 카드 결제수단에 따른 가격에 차이를 두는경우는 위법입니다. (아마도 10%를 부담시키는 경우로 생각되니 위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부가가치세는 간접세의 일종으로 최종소비자가 부담하는 세액이 맞습니다.
다만, 부가가치세 부담여부에 따라 카드나 현금결제 시 가격이 다른 것은 매출누락 등의 의도가 있는 것으로 탈세제보 가능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양승훈 회계사입니다.
부가가치세는 최종소비자가 부담하는것이 맞습니다. 사업자는 최종소비자가 부담한 부가가치세를 세무서에 납부하는것입니다.
따라서 합법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부가가치세 과세사업자는 물품 등의 재화 또는 서비스 등의 용역을 제공시에
공급가액에 10%의 부가가치세를 거래징수하여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또는
확정신고시에 사ㅇ버장 관할세무서에 납부를 하게 됩니다.
사업자가 공급가액에 10%의 부가가치세를 거래징수하는 것은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의 으무사항에 해당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부가가치세의 최종 부담자는 소비자입니다.
거래상대방이 일반과세사업자라고 한다면 10%의 부가가치세를 소비자로부터 징수하는 것은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