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콘텐츠와 연계한 상품 수출 전략은 어떻게 세울 수 있나요?
최근 한류 콘텐츠의 해외 인가가 높아지면서 드라마, k-팝과 연계한 상품 수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지 문화와 유통 채널, 지식재산권 보호 문제를 동시에 고려해야 안정적인 판매망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실제 기업들은 어떤 방식으로 콘텐츠와 제품을 결합해 수익성을 극대화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한류 콘텐츠와 연계한 상품 수출은 드라마 소품, 아이돌 굿즈, 협업 제품처럼 콘텐츠를 직접 상품화하는 방식이 주를 이룹니다. 인기 드라마 방영 시점에 맞춰 관련 제품을 현지 온라인몰과 팝업스토어에서 동시 출시하거나, K-팝 투어 일정에 맞춘 한정판 굿즈 판매로 수요를 높입니다. 또한 현지 파트너와 협업해 문화에 맞는 디자인과 마케팅을 진행하고, 지식재산권 관리로 모조품을 차단하는 전략이 병행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한류 콘텐츠와 연계한 상품 수출은 단순히 로고나 캐릭터만 붙이는 수준을 넘어서, 드라마 속 착용 제품이나 뮤직비디오에 노출된 굿즈를 현지 소비자 취향에 맞춰 변형해 출시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현지 유통망과 협업해 빠른 배송과 AS를 보장하고, 팬 커뮤니티나 SNS 이벤트를 통해 콘텐츠 소비와 상품 구매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또 지식재산권 계약을 철저히 관리해 불법 복제나 모조품 유통을 막는 것도 수익 안정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한류 콘텐츠와 상품을 묶어 해외에 내보내려면 단순히 로고나 이미지를 붙이는 수준으로는 부족합니다. 콘텐츠가 가진 서사와 캐릭터 성격을 제품 기획 단계부터 녹여야 팬층이 자연스럽게 소비로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드라마 속 주인공이 쓰는 소품을 실제 제품으로 출시하면 이야기와 연결되는 감정이 구매 동기가 됩니다. 또 현지 유통망 확보가 관건인데 각국의 온라인 플랫폼과 오프라인 유통업체 특성을 분석해 채널별 맞춤 전략을 세우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지식재산권 관리도 중요합니다. 무단 복제를 막으려면 현지 법률 검토와 상표 등록을 사전에 마쳐야 합니다. 일부 기업은 제작사와 장기 파트너십을 맺고 콘텐츠 기획 단계부터 상품화 권리를 확보해 안정적으로 제품을 출시합니다. 이렇게 하면 현지 반응을 실시간으로 반영해 후속 상품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씀하신대로 K-컬처는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러한 콘텐츠와 제품을 결합하는 방식은 다양합니다만 보통은 이러한 부분을 완전히 결합하기 보다는 간접적으로 노출하는 것이 마케팅 효과가 더 큰 듯 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인기가 있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도 여러가지 음식에 대하여 보여주며 이를 보는 사람들에게 궁금증을 유발하였습니다. 아울러 한국의 배경들을 보여주면서 이를 통하여 한국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시켰습니다. 이처럼 오히려 궁금증을 유발하는 마케팅이 좋은 마케팅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