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미국의 PPI지표 둔화가 왜 미금융시장 상승과 연관된게 맞나요

뉴스에서 PPI지표 즉 생산자물가지수 하락이 미국 다우지수나 S&P500지수 상승을 이끌멌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그동안 경기침체우려가 크고 생산자물가지수 하락은 경기침체우려가 커지는건데 이는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본질적으로 상승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ppi는 생산자물가지수인데 이게 둔화됐다는 의미는 경기가 하락하고 있어 금리인하를 해야하는 당위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PPI의 둔화의 경우은 물가상승률이 안정화 단계에 들었다는 것입니다. Fed의 정책의 주요 목표는 경제성장과 물가안정인데 최근 경기 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못한 것은 바로 물가상승률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으로 나온다면 금리인하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이는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PPI 지표가 상승하면 제조업체가 상품을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이는 곧 소비자 물가에도 영향을 미쳐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PPI가 하락하면 생산 비용의 감소 또는 수요 약화를 의미할 수 있으며, 디플레이션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PPI(생산자물가지수) 지표 둔화가 미 금융시장의 상승을 이끌었다는 뉴스에 대해 살펴보면,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면서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이 높아지고, 기업 이익 개선 기대와 투자 심리의 안정으로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PPI 하락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고,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에 변화를 줄 수 있으며, 기업들의 생산 비용 감소로 이어져 이익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PPI 지표 둔화는 경기 침체 우려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여 경제가 부드럽게 착륙할 가능성을 높이고, 소비 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긍정적인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PPI 지표 둔화는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줄여 주식 시장 상승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PI 지표 둔화가 항상 주식 시장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장기적인 경기 전망과 다른 경제 지표들, 그리고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요소들이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긍정적 신호만으로 장기적인 시장 전망을 판단하는 것은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 결정을 내릴 때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어제 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예상치보다 많이 낮게 나와서 시장에서 환호를 했습니다.

    지금 기준금리가 높은것이 미국 물가상승률이 높기때문인데

    물가상승이 낮아졌다는지표가 나오면 기준금리가 내려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렇게되면 주식등 투자자산시장에도 호재이기 때문입니다.

  • PPI(생산자물가지수)가 하락하면 생산 비용이 줄어들어 기업의 이익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는 주가 상승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PPI 하락은 물가 상승 압력이 줄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되어 연준(Fed)이 금리를 더 이상 크게 인상할 필요가 없다는 기대감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기대감이 금융시장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해 다우지수나 S&P 500 지수의 상승을 이끌 수 있습니다.

    경기침체 우려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시장은 금리 인상 완화 기대에 더 크게 반응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 둔화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PPI가 둔화되면,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상할 필요성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이 감소하고 소비자 지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져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쉽게 말하면 시장이 생각하는거 보다 너무 많이 하락 하면 그렇습니다. 근데 전년 대비

    미국 7월 PPI: 2.2% (예상 2.3%)

    미국 7월 근원 PPI: 2.4% (예상: 2.6%)

    요렇게만 소폭 하락했기 때문에 호재로 받아들인거 같습니다. 그래서 강한 경기침체없이 금리는 인하되면서 경기가 좋아지는 모두가 바라는 연차륙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받아들인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PPI가 둔화되면서 주식시장이 상승한 이유는 시장이 이를 인플레이션 압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더 이상 인상하지 않거나 심지어 금리 인하를 고려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기업들 대출 비용을 줄여주고 경제 활동을 촉진할 수 있어 주식시장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PI 둔화가 경기 침체를 의미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는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주식시장이 상승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PPI지표와 같은 경우에는 생산자 물가지수로

    이에 따라서 어느정도 둔화되나 그 폭 등이 중요하기에

    경기침체를 잘 이겨낼 수 있다는 판단으로 인하여

    시장에서 이를 긍정적으로 판단하였기에 이에 주식시장이

    상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PPI 지표 둔화는 물가 상승이 주춤해진다는 신호입니다. 이는 앞으로 물가가 더 이상 크게 오르지 않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주죠. 물가가 안정되면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더 올리지 않거나, 심지어 내릴 수도 있습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돈 빌리기가 쉬워져서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고 경제가 좋아질 거라는 기대감이 생깁니다. 또한, 돈을 빌리는 비용이 줄어들어 기업들의 이익도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런 기대감 때문에 투자자들은 주식을 사들이고, 주가가 상승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PPI 지표 둔화는 "물가 걱정 끝! 이제 경제 좋아질 일만 남았다!"라는 신호로 받아들여져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입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PPI둔화 즉 생산자물가지수의 하락은 CPI보다 중요성이 떨어지는 물가지수이고 오히려 이하락은 침체우려를 자극시키는 심리적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PPI보다는 어제 골드만삭스가 말하기를 실적발표기간에는 자사주매입이 불가한데 이번앙 미국 실적발표가 끝나면서 자사주매입이 시작되었고 이로인한 수급이 호전되면서 상승한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내수시장 침체를 야기하므로 인하가 호재이구요.

    생산자물가지수 역시 둔화되었단 것은 생산원가가 하락하여 생산자의 이익 증가 내지 최종 소비재 상승 둔화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생샤자물가지수 둔화가 증시 상승을 이끌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