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미래도꾸준한갈비탕
미래도꾸준한갈비탕

재테크를 어떻게해야할까요 공격적이여야할까요?

안전한 투자성향인데 이자도 너무 낮고

예금 적금으론 모을수없는 세상이되다보니 투자해서 불려야할까요?

주식이런건 원금이 많이내려갈까 걱정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예금이나 적금만으로는 요즘 같은 시대에 자산을 불리기가 어렵지만, 무조건 공격적인 투자를 해서난 안됩니다. 주식 중에서도 배당금을 꾸준히 주는 안정적인 기업에 소액을 분산 투자하거나, 부동산 펀드(리츠)나 ETF처럼 비교적 안정적이면서도 예금보다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들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만으로는 답답하다고 느껴서 요즘 금리가 낮다 보니 돈을 불리는 데 한계가 있긴 하죠. 제 생각에는 무작정 공격적으로 가기보다는 안전 자산을 기본으로 깔고, 소액이라도 분산해서 투자 경험을 쌓는 게 현실적일 수 있습니다. 꼭 주식이 아니더라도 채권형 상품이나 ETF처럼 위험이 조금 덜한 것도 있습니다. 물론 원금 변동이 아예 없는 건 아니라서 불안할 수 있지만, 작은 금액부터 시도해보면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재테크를 어떻게 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연령대가 20-30대에 가까울 수록 리스크를 많이 지시는 것이 좋고

    연령대가 50-60대에 가까울 수록 보수적으로 안정적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가급적 포트폴리오에 안정적인 자산과 저위험 자산을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분산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줄이면서 수익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포트폴리오를 계획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테크에 대한 방법은 사람마다 조금싞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성향에 따른 것으로 성향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좋고, 성향이 안전형이라고 한다면 채권이나 배당주 등에 대한 투자나 금이나 은에 대한 투자가 진행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것이 아니면, 공격형이라고 하면 주식이나 코인 등에 대한 투자를 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시기에 따라 다른 문제이지만 지금처럼 대세 상승장에서는 아무래도 주식등에 과감하게 투자하는게 돈을 불릴 수 있는 기회가 되는것은 맞습니다.

    반대로 하락장에서는 예적금, 채권등이 좋겠고요.

    하지만 미래를 알 수 없으니 적당히 나눠서 투자하면서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대응 해 나가는게 최선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예적금으론 이자가 너무 적긴 합니다 그래서 다들 원금 손실 감내하면서 투자를 하는거죠

    당장 투자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면 급하게 생각하실게 없습니다 먼저 투자에 대한 공부를 어느정도 하고 투자를 시작해도 늦지 않는거죠 투자는 평생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바로 시작하지 말고 투자에 공부를 먼저 하시고 시작을 하시길 바랍니다!

  • 안전한 투자성향을 가지고 계신다면, 포트폴리오를 안전추구형으로 만드시면 됩니다. 예금과 채권 등을 중심으로 하되, 약 30~40% ETF나 주식 투자를 우량한 종목 위주로 하신다면 괜찮은 포트폴리오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를 해서 자산을 불리고 싶을수도 있지맘 투자는 늘 원금 손실의 리스크가 있습니다. 우선 소액으로 투자 연습을 하면서 공부를 많이 해보시면서 결정해보시고 본인 성향이랑도 맞는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전 성향이시라면 공격적 투자보다는 안정성과 수익성을 균형 잡는 재테크이 좋을 듯합니다.

    예금·적금(연 2~3%, 케이뱅크)만으론 자산 증식 한계, 투자 필요.

    전략

    1) ETF(S&P500 VOO, 코스피200, 연 7~10%) 50%로 소액 분할 매수, 원금 하락 리스크 완화

    2) 채권 ETF 35%로 안정성 확보

    3) 주식 ETF 15%로 수익성 확보

    주식은 변동성 크니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우량주 10% 이내. ISA(비과세 2천만 원) 활용하는 것 좋고 분기별도 종목에 대한 검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은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예금이자로는 실질이자율이 1프로도 안됩니다

    즉 자산증식자체가 안되며 생활물가는 최근 2배이상이 상승하고 있는 환경입니다 이에 위험자산에 투자할 필요성은 있으나 개별주식은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큽니다 이경우 시장지수를 추종하고 자체적므로 분산이되고 운용매니저가 스스로 운용하는 상품인 코스피나 나스닥지수 S&P500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나 배당성장주 ETF나 특별 성장형 섹터나 스타일 섹터 ETF를 매월 일정기간 매수하는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게 좋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