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뿔미친개미가 생태계교란종으로 분류된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긴뿔미친개미는 생태계교란종으로 분류가 되어있데 개미가 어떤식으로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는 건가요?
긴뿔미친개미가 생태계교란종으로 분류가 된 것은 어떤 점들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긴뿔미친개미는 특징 지역에서만
서식하는 것이 아니라
기후, 환경에 상관없이 서식이 가능한 종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긴뿔미친개미는 공격성과 번식력이 매우 강해서 토착 개미와
다른곤충을 몰아내고 생태계 균형을 무너뜨리기 때문에
생태계교란종으로 분류됩니다.
이들은 독성 분비물로 다른 곤충이나 작은 동물들을 죽이기도하고
심지어 새끼 바닷게나 바닷새의 생존에도 영향을 줍니다.
또한 기후 적응력이 높고
열대~아열대는물론 온난한 지역에서도
정착이가능해서
한번 퍼지면 농업이나 전력시설, 자연생태계등에 모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런점떄문에 국제적으로도 침입에대한 주의개체로
관리되고있는 실정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긴뿔미친개미가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 핵심 이유는 이들이 토종 생물 군집을 파괴하고 생물 다양성을 현저히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이 개미는 여러 마리의 여왕개미를 중심으로 거대한 군집을 이루어 폭발적으로 증식하며, 매우 공격적인 성향으로 먹이나 서식지를 두고 토종 개미 및 기타 절지동물을 압도하여 몰아냅니다. 또한 진딧물이나 깍지벌레 등 식물 해충을 보호하고 이들이 분비하는 감로를 섭취하는데, 이 과정에서 해당 해충들의 밀도가 높아져 농작물이나 식물에 간접적인 피해를 유발합니다. 긴뿔미친개미는 본래 열대 및 아열대 기후가 원산지이지만 인간의 교역 활동 등을 통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추운 기후 지역에서는 주로 실내나 온실 등 기온이 유지되는 인위적인 환경에서 서식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긴뿔미친개미의 압도적인 개체수와 공격성 때문입니다.
긴뿔미친개미는 다수의 여왕개미와 협력적인 군락 구조로 폭발적인 밀도의 초군락을 형성해 서식지를 장악합니다. 그 결과 높은 밀도로 토착 개미 종과 다른 절지동물의 먹이를 빼앗고 포식하여 개체수를 급감시킵니다. 그리고 절지동물 등의 감소는 이를 먹고 사는 토착 포식자인 새니 뱀 등에게 악영향을 주어 생태계 전반의 먹이 사슬을 교란하게 됩니다.
게다가 공격적인 습성과 군집 능력으로 전기 장비를 갉아먹어 합선을 일으키는 등 경제적 피해도 유발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