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편식이 심할 때 기분 좋은 분위기에서 밥을 먹을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아이가 편식이 심해서 식사 시간이 스트레스가 됩니다. 다양한 음식을 접하게 하려고 노력하지만 거부 반응이 심한데, 아이의 식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현실적인 조언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아이의 편식 습관과 관련해서 궁금한 것 같습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
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어째든 다양한 음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편식이 심하다 라는 것은
음식을 골고루 먹지 않음이 크다 라는 것을 의미 하겠습니다.
아이가 편식을 한다 라고 한다면 단호함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가 편식을 하고 거부를 하면 단호하게 음식을 편식하는 태도는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을 해 준 후,
왜 편식하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도록 하세요.
아이가 편식하는 음식을 가지고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를 들면 비빔밥.볶음밥. 야채전. 야채피자. 야채빵, 야채 또띠아, 야채 튀김 기타 등등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서
제공해 주도록 해보세요.
또한 , 아이와 함께 요리활동을 하면서 요리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부분도 필요로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편식 아이와 식사 시간을 즐겁게 만들려면, 압박이나 강요보다는 긍정적인 경험을 먼저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색깔별 채소를 플레이팅하거나, 작은 한입씩 시도하면서 칭찬을 해 주는 방식이 좋습니다.
식사 전 함께 요리를 하거나 음식 이름, 재료 이야기를 나누는 놀이도 흥미를 높입니다.
또한 같은 음식이라도 다양한 조리법으로 제공하면 아이가 거부감을 덜 느낍니다.
식사 시간을 스트레스가 아닌 즐거운 가족 활동으로 연결하면 자연스럽게 다양한 음식을 받아들이게 돼요.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강요 잔소리를 줄이고 부모가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모델링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식사 준비 과정에 아이를 참여시키면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줄고 시도 의지가 올라갑니다.
새로운 음식은 아주 소량으로, 익숙한 음식과 함께 반복 노출하면 자연스럽게 편식이 완화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편식이 심할수록 식사 분위기를 먼저 편안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억지로 먹이려 하면 긴장감이 생기고 편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식사시간에는 음식 이야기보다 가벼운 일상 대화를 하며 아이가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하고, 새로운음식은 아주 소량만 접하게 해 자연스럽게 익숙해질 시간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