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견실한홍학32
견실한홍학32

용어 중에 헤징이란 무엇인가요?

기사보다보니 어려운 용어가 많네요


헤징이란게 손실과이익을 조절한다?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안되서요.

고수분들 무엇을 위해 있는건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헷징(HEDGING)이란 현물에 있어서 가격변동의 위험을 선물의 가격변동에 의하여 상쇄하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수출입업자가 외화표시로 상품의 매매를 하고 있어 이에 대하여 선물환으로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는 경우가 있으며 Hedging은 환위험(Exchange Risk)을 회피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즉, 가격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막기 위해 실시하는 금융 거래행위 일체를 말합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헤징HEDGING 이란 보통 환율이 오르내리는 동안 무역 거래 결제가 불확실성르로 인하여 손실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금융 파생상품이나 환변동 보험 등을 체결해서 이익이 나도록 보호하는 장치를 만들어 손실과 이익의 +/- 를 조절 하는 것입니다.

    헤징은 매입헤지(long hedge)와 매도헤지(short hedge)로 구분할 수 있는데 매입헤지는 가격상승 위험을 없애기 위해 선물을 매입하여 가격변동 위험을 줄이는 것이며,반대로 매도헤지는 가격하락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선물을 매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수출대금을 수출후 일정기간후에 받기로 했다면 달러선물을 택해 5만 달러를 원화로 파는 계약을 체결하는등으로 헤징을 할수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로 미국 금리의 빅스텝으로 국내 금리도 큰폭으로 오르고 이에 따라 환율도 오르내림이 심해지는 변동성이 커지고 있어 거래처에서도 그에 따른 수출입 대금의 환차익/ 환차손에 대한 환위험 헤징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환변동 보험 상품을 준비하고 있고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68929&sSiteid=1

    또는 환차손의 위험 자체를 없애기 위하여 원화로 결제통화를 지정하는 등의 방법도 활용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헷징이란 울타리, 방지책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미래에 생길 위험에 대하여 현재 대응함으로서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헷징은 변동성이 심한 물품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외환, 주식, 코인, 원자재 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에 대한 헷징은 옵션 / 선물 등 다양한 파생상품을 통하여 진행하거나 혹은 보험을 통하여 진행하기도 합니다.

    보험의 경우 만약에 일정이상의 변동성이 발생하게 된다면 이에 대한 손실을 보전하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뤄지며, 외환, 주식, 코인 등의 경우에는 옵션이나 선물거래를 통하여 이러한 헷징이 이뤄집니다. 예를 들어서 이러한 물품들을 매수하는 경우에는 일정부분의 풋옵션을 매수하거나 선물을 매도함으로서 만약에 가격이 급락하는 경우 매수에 대하여는 손실이 발생하지만, 추가로 매수한 풋옵션 혹은 매도한 선물에서는 수익을 발생함으로서 손실을 줄이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헤징(Hedging)이란, 가격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막기 위해 실시하는 금융 거래행위를 의미합니다. 즉, 주가, 환율, 금리 등의 변동으로 인한 가격위험(가격변동위험)을 제거함으로써 손실을 방지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말하며, 헤징(hedging)은 공격이나 위험을 막는 ‘울타리’라는 뜻의 ‘헤지(hedge)’에서 비롯된 금융용어로, 위험분산, 위험회피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환(換)’과 ‘헤지(hedge)’의 결합어로 환헤지를 예를 들어 말씀드리면, 우리나라 기업이 해외기업과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인 시점에 1달러짜리 제품 10개를 수출하는 계약을 맺었다면, 계약 시점에 우리나라 기업의 원화 매출액은 12,000원으로 예상할수 있지만, 실제 대금 지급 시점에는 환율이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여 환율을 현재 시점의 환율에 미리 고정하는 것을 말하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헤징(헷징, Hedge)주식투자 등의 투자활동에서, 현물가격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수 있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선물이나 옵션등으로 시장에서의 현물과 반대되는 포지션을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무역환경에서는 환헷징을 많이 말하는데, 환율의 변동으로 생길 수 있는 이익/손해를 없애고 환리스크 (환율 변동으로 생길수 있는 손실위험)을 회피하기(hedge) 위한 행위를 뜻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