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08

자동차는 왜 브레이크 밟으면 바로 안멈추나요?

자동차 브레이크 밟으면 바로 멈추는것이 아니고 서서히 속도가 줄면서 멈추어지는데 바로 멈추게 못하나요? 왜 속도가 줄면서 멈추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민규 전문가blue-check
    김민규 전문가23.08.10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찰과 관성의 법칙에 대해 이해를 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우리 브레이크의 경우 페달을 밟을 경우 마찰에 의해서 그 속도를 줄이게 됩니다. 즉, 한번에 속도가 0 이 되는 것이 아니지요.

    또한 움직이는 물체는 갑자기 정지하더라도 계속 해당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성질, 즉 관성이 작용하기 때문에 갑자기 바로 0 의 속도로 멈추는 것은 사실 상 불가능 합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브레이크의 작동방식을 먼저 생각해야 됩니다. 브레이크 캘리퍼 쿼트라는 것이 브레이크 시스템의 핵심 부품입니다. 이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주변이 위치한 부품으로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에 가압하여 마찰을 일으키는 장치입니다. 이때 마찰저항으로 회전 중인 타이어를 제어하고, 차량을 점지시키는 것입니다. 브레이크 캘리퍼 쿼트의 작동원리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마스터 실린더에 유압이 생성됩니다. 이 압력은 브레이크액을 통해 브레이크 캘리포 쿼트로 전달됩니다. 피스톤이 이 압력을 받고 움직이게 되고, 캘리퍼 본체의 지지를 통해서 브레이크 패드가 디스크에 가압합니다. 이때 패드와 디스크 사이에 마찰이 커지면서 타이어를 멈추게 제어하고 멈춘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까지 작용하여 차량이 멈출 수 있는 것입니다. 장치를 더 크면서도 민감하고, 정교하게 만들면 제동시간을 줄일 수는 있겠지만 차량 속도가 빠를수록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을 통한 제동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바로 멈추는 것은 어렵습니다. 만약 그게 된다고 하더라도 탑승자와 싣고 있는 물건은 관성에 의해서 제동시 앞으로 계속 가려고 하기 때문에 위험할 것입니다. 제동에 걸리는 시간이 짧을수록 관성은 더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도 적당한 제동 시간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형 과학전문가입니다.


    브레이크 패드를 통해 바퀴 동력을 억제 시키는것이 현재 자동차 브레이크의 원리입니다.


    브레이크 성능이 너무 좋아 밟는 즉시 멈춘다면 관성의 법칙에 의해 사람이 앞으로 튕겨나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급정거를 한다면 뒤에 따라오던 자동차에 의해 추돌 사고가 날 확률도 비약적으로 높아집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건 현재의 브레이크 방식으로는 일정속도 이상에선 무조건 속도에 따른 제동 거리를 갖습니다.

    타이어가 멈춘 상태에서 차가 밀리게 되면 타이어의 마모가 빨라지고 또한 차체 엔진이나 내부에 부하가 갈 수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 방식을 바꾼다면 즉시 제동이 가능하게 만들수는 있겠으나 그렇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 받는 이점이 다소 미약합니다.


    때문에 브레이크를 밟자마자 멈추는것보다 서서히 멈추게 하는것이 현재 도로교통상 더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 즉, 관성이 타이어의 마찰력과 접지력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자동차의 속도가 빨리 줄어드는 이유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를 강하게 잡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를 너무 강하게 잡으면 바퀴가 멈추어버릴 수 있습니다. 이때는 자동차가 미끄러지게 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는 바퀴를 적당히 잡아서 자동차의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바로 멈추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주요한 이유는 마찰과 운동량의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1. 마찰: 자동차가 바퀴로 도로를 밟아서 움직이는 과정에서 타이어와 도로 사이에 마찰이 발생합니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타이어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에서도 마찰이 발생하며, 이 마찰이 자동차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마찰은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며, 자동차가 움직이는 속도와 도로 상태에 따라 다르게 작용합니다.

    2. 운동량: 운동량은 물체의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나타내는데, 이 운동량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힘이 작용해야 합니다.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아 멈추려면 운동량을 줄이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며, 힘이 작용하면서 속도가 점차 감소합니다.

    따라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자동차는 마찰과 운동량의 영향을 받아서 점차 감속하면서 멈추게 됩니다. 멈추는 데에는 거리와 시간이 필요하며, 차량의 속도와 브레이크의 효율성, 도로 상태 등이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래서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바로 멈추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으면 서서히 멈추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브레이크는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로 변환시켜 멈추게 합니다. 이때 열이 발생하는 속도가 자동차의 속도와 브레이크의 성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자동차가 서서히 멈추게 됩니다.

    자동차의 타이어는 노면과 마찰을 하면서 멈추게 됩니다. 이때 마찰력은 타이어의 재질, 노면의 상태, 타이어의 공기압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자동차가 서서히 멈추게 됩니다.

    자동차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멈추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자동차의 속도가 빠를수록 멈추는 데 더 많은 거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서서히 멈추는 것은 자동차의 특성상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안전운전을 위해 브레이크를 미리 밟고, 급브레이크를 피하는 등 안전운전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는 브레이크를 밟으면 바로 멈추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브레이크의 성능

    브레이크는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브레이크의 성능은 브레이크 패드의 재질, 브레이크 디스크의 크기, 브레이크 캘리퍼의 크기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브레이크의 성능이 좋을수록 자동차의 속도를 빠르게 줄일 수 있습니다.

    • 타이어의 마찰력

    타이어의 마찰력은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타이어의 마찰력이 좋을수록 자동차의 속도를 빠르게 줄일 수 있습니다. 타이어의 마찰력은 타이어의 재질, 타이어의 온도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 자동차의 무게

    자동차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브레이크를 밟아도 속도를 줄이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이는 자동차의 무게가 많을수록 브레이크가 가해지는 힘이 커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 도로의 상태

    도로의 상태도 자동차의 제동거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도로가 미끄러운 경우 브레이크를 밟아도 속도를 줄이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이는 도로가 미끄러운 경우 타이어와 도로의 마찰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스개소리지만...시속 100km로 달리다가 차가 바로 정지하게 되면 아마 사람이 앞유리창으로 튀어 나갈수도 있을겁니다.ㅎ

    바로 관성 때문인데요...움직이는 모든 물체는 제동이 걸려도 한동안은 그 운동을 지속할려고하는 성질때문이죠.

    자동차 브레이크의 시스템은 기계와 유체 역학의 원리를 활용하여 작동하는데요..

    보통, 디스크와 드럼 브레이크로 구분됩니다.

    디스크브레이크는 자동차 타이어 안쪽에 로터라고 하는 디스크에 브레이크 패드가 압착되는 원리로..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액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서 압축되어 브레이크 캘리퍼에 전달되고,

    피스톤은 브레이크 액의 압력을 받아 브레이크 패드를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까이 밀어붙여 패드와 디스크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면서

    회전하는 디스크의 운동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고 차량의 속도가 줄어들게 되죠

    참고로, ABS 시스템이라는게 있는데..

    ABS는 브레이크를 브레이크와 브레이크 해제 사이에서 빠르게 반복해서 작동시켜 브레이크를 블록하지 않고도 타이어의 트랙션을

    유지하며 제동 거리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해 준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브레이크를 밟으면 유압에 의해서 마찰재가 타이어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면서 멈추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마찰재가 바퀴에 닿아서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리고 자동차의 속도가 100km이상인데 갑자기 급제동하면 우리의 몸이 앞으로 쏠리듯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바로 정지되면 작용 반작용에 의해서 우리의 몸은 앞으로 날라 갈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천천히 멈춰야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