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올라잇
올라잇

중국이 과연 미국 상대로 관세 맞불을 놓을 수 있을까요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관세를 때릴 거라고 하니까 중국도 맞관세로 반격을 하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중국 내부적으로 진짜 힘든 거로 아는데 자존심만 세우기에는 너무 위험하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중국이 과연 미국을 상대로 간세에서 맞불을 놓을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관세로 맞불을 놓기에는 어렵지만

    천연 자원 등의 수출을 제한하면서 맞불을 놓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중국에 있어서 가장 큰 수출국이며, 많은 이익을 주고 있는 시장입니다. 따라서 중국이 미국의 관세를 10% 붙인다고 하더라도 손해는 미국에 있는 것이 아니라 중국에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은 미국에 10% 관세를 붙인다고 했지만 뒤로는 대규모 협상카드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이나 미국은 내수 규모가 어마어마합니다 수출은 미국이 아니어도 충분히 중동이나 동남아시아 이런 쪽으로 본인들이 원하는 대로 할 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상상도 못 할 일이지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그렇긴 하지만 중국이 지금 상황에서 미국의 모든 요구를 받아들인다면 그 이후 더 큰 요구가 왔을 때

      대응을 할 수 없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중국도 미국이 관세를 올릴 때 같이 관세를 올리면서 대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결국에는 미국과 중국이 맞불을 놓으면서 과거처럼 큰 무역전쟁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주초에 중국을 향해 10%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중국도 미국산 석유와 석탄 등에 10~15% 보복관세를 예고 했고 TWO 제소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아울러 캘빈클라인, 타미힐피거 등의 브랜드를 가진 PVH라는 패션 기업을 블랙리스트 올렸습니다.

    중국 입장에서도 수위 조절을 하겠으나 관세는 외교정책과 비슷하게 일반적으로 상호적입니다. 미국의 일방적 관세 부과에 중국 측 대응도 충분히 예측 가능하고 합리적인 범위 내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