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피는왜 붉은색인지궁금합니다.
우리인간들의 피는 다 붉은색입니다 왜 붉은색이 되는지
영화에서 나오는외계인들은 파란색이나노란색등. 여러가지로묘사되던데 무엇으로 피색깔이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인간의 피가 붉은 색을 띠는 이유는 헤모글로빈(Hemoglobin)이라는 단백질 떄문입니다. 헤모글로빈은 적혈구 안에 존재하며, 그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산소를 폐에서 신체의 다른 부위로 운반하는 것 입니다. 헤모글로빈 분자에는 철(Fe)이 포함된 헴(heme) 그룹이 있으며, 이 철 원자가 산소와 결합할 때 산소화 헤모글로빈이 형성되고, 이때 발생하는 화학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피가 붉은 색을 띠게 됩니다.
산소와 결합하지 않은 탈산소 헤모글로빈은 보다 어두운 붉은색을 나타내며, 산소와 결합했을 때 밝은 붉은색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색상 변화는 피가 산소를 얼마나 많이 운반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다른 생명체, 특히 영화나 공상 과학에서 묘사되는 외계 생명체의 경우, 피의 색깔은 그들의 헤모글로빈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분자의 화학적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컨데, 일부 해양 생물에서는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헤모시아닌(Hemocyanin)이 산소 운반체로 작용하며, 이는 산소와 결합할 때 푸른색을 띠게 됩니다. 이와 같이, 피의 색깔은 그 생명체의 산소 운반체의 화학적 성질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사람의 피가 붉은색인 이유는 혈액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 때문이죠.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결합할 때 붉은색을 띠는 철 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피의 색깔은 주로 산소를 운반하는 분자와 그 성분에 따라 결정됩니다.
사람의 피가 붉은색을 띠고 있는 이유는 혈액 내부에 존재하는 적혈구 때문입니다.
그리고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며, 철분이 포함한 헤모들로빈으로 되어 있어서 붉은색을 띠게 됩니다. 특히 혈액이 산소와 결합하면서 적색 산소중합체가 생성되어 더 붉은색을 띠게 됩니다.
하지만 모든 생물의 피가 붉은색은 아닙니다.
파란색의 피를 가진 동물로는 거미나 갑각류 일부와 달팽이, 민달팽이, 조개, 오징어, 문어 등의 일부 연체동물에서 발견됩니다. 피가 파란색인 이유는 혈액 내에서 산소를 운반할 때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헤모시아닌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또 초록색의 피를 가진 동물도 있는데요, 갯지렁이 또는 거머리와 같은 선충, 일부 무척추동물 등에서 발견됩니다. 이는 색소 단백질인 클로로클루오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가장 흔하지 않은 보라색 피가 있는데 일부 해양 무척추동물의 호흡 색소인 헤메리트린에 의해 보라색 피가 관찰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헤모글로빈은 철을 포함하는 단백질로, 산소와 결합할 때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하여 붉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산소가 결합되지 않은 헤모글로빈은 어두운 붉은색이고, 산소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밝은 붉은색으로 보입니다.
사람의 피가 붉은색인 이유는 혈액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이라는 단백질 때문입니다. 헤모글로빈은 철분을 포함하고 있어 산소와 결합할 때 붉은색을 띠게 됩니다. 피의 색깔은 헤모글로빈 외에도 혈액을 구성하는 색소나 금속 이온에 따라 결정되며, 외계인이나 다른 생물에서 피가 파란색이나 녹색으로 묘사되는 것은 헤모시아닌(구리를 포함한 색소) 등 다른 색소나 금속 이온을 사용해 산소를 운반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인간의 피가 붉은색인 이유는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 때문입니다.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결합하여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로, 산소와 결합할 때 붉은색을 띱니다. 산소가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어두운 붉은색을 띱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사람의 혈액이 빨갛게 보이는 건 피 속에 들어 있는 적혈구 때문에 빨간색을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