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에는 얼마를 모아야 많이모은건가요?
서른초반은 얼마를 모아야 많이모은건가요 사람마다 기준이 다르겠지만 평균적으로 얼마정도가 괜찮은언지 궁금합니다 답변저세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30대 남성인지, 여성인지, 그리고 결혼은했는지 안했는지, 대출은 있는지 없는지 등 정말 다양한 변수가 있겠지만 순수 현금 보유량으로 3억원 정도면 많이 모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30대초반이면 남자기준으로는 사회초년생에가깝습니다. 물론 가장 빠른 나이에 26~27살에 입사했다면 어느정도 연차는 있겠지만 일반적인 기준으로 3~4년차이상의 사회초년생으로 보입니다. 그런 측면으로 고려하자면 연봉 5,000만원인 30-33세 직장인의 경우 순금융자산 5,000만원이면 괜찮은 수준 1억원이면 상당히 많은것으로 보이며 만약 1억 5천만원 이상이면 매우 크게 순자산을 늘린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30대 평균 자산은 3억 7천만원 가량 된다고 합니다.
물론 자가나 부채를 포함해 두고 있어 현금성 자산만이 아닙니다.
3억 중반 정도의 자산이면 괜찮은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서른초반에는 1억 정도만 모았어도 많이 모은 것입니다. 특히 요즘에는 취업 나이도 점점 늦어지는만큼 30 초반이라고 해서 많은 돈을 모으기는 어려울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서른 초반에 얼마를 뫃아야 많이 모은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제 기준에서 30 초반에 1억원 정도 현금을 모았다면
많이 모았다고 판단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확정적인 것은 없지만 나와있는 자료에 의하면 2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가구원과 1인 기준의 중위소득
가구원으로 본다면 30대 2인가구 기준 1억 5천만원이 순자산이며 이는 보통 30대 결혼 사람들의 중간 값이 둘이 합쳐 1억 5천이라는 말과 같습니다.
그러나 1인 기준으로 본다면 30대가 순자산은 7천만원정도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현실적으로 중위소득에서 1인 기준으로 말씀을 드립니다.
7천만원이면 결국 상하위 50% 중간이면서 대략 35세에 그정도라고 한다면 내가 나이가 30대 후반이라면 1억~1억5천이상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 되기 때문에 초반에는 5천정도만 있다고 하면 중간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30대 초반에 얼마를 모아야 ‘많이 모았다고 할지는 개인 소득, 지역, 생활비 수준에 따라 다르지만 통계 기준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통계청 자료 보면 30대 가구 평균 금융자산이 대략 5천만 원 전후이고, 소득 상위권은 1억 원 이상을 운용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래서 사회 초년생 몇 년 지나 1억 원 가까이 모았다면 꽤 빠른 축에 속하고, 5천만 원 이상이면 평균 이상이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절대적인 금액보다 소득 대비 저축률, 꾸준히 투자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게 더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30대(30~39세) 평균 순자산은 2025년 기준 약 2.8억 원으로, 중위값은 1.59억 원입니다. 이 정도면 평균적 수준이며, 상위 10%는 5~10억 원 이상으로 평균의 기준입니다. 서른 초반(30~32세)은 경력 초기라 평균 1~1.5억 원 정도가 적정, 중위값 0.8~1억원 정도로 보면 될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30대 초반에 얼마를 모아야 한다는 기준이 사실 뚜렷하진 않습니다. 어떤 분은 천만 원만 있어도 든든하다고 하고 또 어떤 분은 억 단위가 돼야 마음이 놓인다고 하죠. 통계로 보면 30대 평균 금융자산이 5천만 원 전후라고 합니다. 물론 빚이 있냐 없냐에 따라 체감은 크게 달라집니다. 또 결혼 준비나 집값 같은 현실적인 변수도 크고요. 제 판단으로는 일정 금액 자체보다는 매달 꾸준히 저축과 투자를 이어갈 수 있느냐가 훨씬 중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