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뽀로로
뽀로로23.05.16

아이에게 소리지르는건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을까요?

잘못된 행동이라 생각되는 걸 하지 말자고 이야기를 몇번 반복해도 아이가 말을 계속 듣지 않는 경우 저도 모르게 언성이 올라갈 때가 있습니다. 아이에게 소리지르는 것도 정서적 학대가 된다는 말에 너무 깜짝 놀랐고 다신 그러지 않아야겠다고 생각하는데, 아이에게 소리지르는 건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는 행위는 아이의 자존감을 깎아 내리는 것입니다

    또한 정서적으로 공포를 주는 행위 이기 때문에 아이에게 정서적으로 심리적으로 좋지 않은 행동 입니다.

    아무리 화가 나도 아이의 잘못을 훈육을 하실 때에는 소리를 지르지 마시고 단호하게 굵은 목소리로 짧게 그 행동을 제지 하신 후에 아이의 감정을 공감한 후 아이의 잘못에 대해서 훈육을 하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6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면 아이가 부모님의 눈치를 볼 수 있고 정서적으로 불인한 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 소리를 지르거나 화를 내는 경우 아이가 받아들일

    공포심은 성인으로 생각하면 전쟁의 공포심과 유사하다고 합니다.

    아이의 훈육방식에 대하여 정답은 없지만 대화를 통해 아이에게 잘못된 행동에

    대한 눈높이 교육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아이 심리 안정에도 좋으니 대화로써

    해결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리를 지르는 행위자체가 아이에게 좋지않은 정서적 측면을 야기할 수 있스비낟

    그렇기 때문에 소리를 지르기 보다는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로 훈육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를 하다보면 감정적으로 나올 때가 있지요. 부모도 종종 쉼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경우로는 정서적으로 안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깜짝놀라는 일이 반복되다보면 눈치를 보는 행동을 하게 될 수도 있지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소리 지르지 않는 건 모든 부모님들의 소망인 것 같습니다.

    아이들에게 화를 내지 않고, 인자하고 온화한 모습만 보이고 싶은데 현실은 그렇치 못할때가 많답니다.

    늘 온화할 수는 없답니다.

    혼낼 때는 따끔하게 혼을 내고, 사랑을 줄 때는 한 없이 사랑해 주면 아이들의 정서에도 좋은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이를 키우다 보면 이성을 잃고 아이를 대하는 상황이 오기 마련입니다. 부모도 지치고 아이도 힘들면 그럴 수 있습니다. 다만 남는 건 후회와 역효과 뿐입니다. 단호한 태도와 사랑은 훈육의 양 날개 입니다. 이것을 기억한다면 단순히 아이에게 화풀이를 하거나 모욕을 주는 일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응징이나 처벌이 아닌 가르치는 행위가 훈육의 핵심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소리 지르기는 또한 아이의 성격과 두뇌에 장기적으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폭력입니다. 유아의 두뇌를 변화시키고 우울증과 낮은 자존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서적 학대는 문제 행동을 악화시킬 수 있고 소리 지르기는 못된 방법을 아이에게도 똑같이 가르치는 것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부모의 큰 소리에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부모가 큰소리를 자주 내면 아이는 정서적으로 불안해 하며 부모의 눈치를 보게되고 자신감도 하락하게 됩니다. 가극적 큰소리를 내지 마시고 아이와 대화를 하며 훈육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글의 내용대로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게 되면 아이의 정서 발달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땐 소리를 지르기 보단 좀 더 낮은 목소리로 차분하게 단호하고 짧게 훈육을 하고, 훈육이 끝나면 여전히 아이를 사랑하고 있다 라는 것을 알게 아이를 따뜻하게 안아 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