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호기로운까치221
호기로운까치221

등원거부하는 36개월 아기 등원시키는 방법

36개월 아이가 어린이집을 안가려고 합니다. 어린이집에서는 막상 가면 잘 논다고 그러는데 그런거보면 무슨 문제가 있는건 아닌것 같아요... 이럴땐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른들이 매일 직장에 가는 것을 즐거워하지 않듯이 아이들도 어린이집이 단체 생활이기때문에 질서를 지켜야하고 마음대로 행동 할 수 없기 때문에 힘들어 합니다.그러때는 어린이집에서 보내 온 보육계획안의 프로그램을 보고 아이에게 "오늘은 ㅇㅇ은 놀이를 한대,오늘은 산책을 ㅇㅇ로 간대"라고 활동을 알려주면서 기대감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그리고 반 친구들의이름을 불러주면서 "ㅇㅇ가 같이 놀자고 기다리고 있대""ㅇㅇ친구랑 어린이집에서 ㅇㅇ 놀이를 할까"라면서 어린이집에 대한 친구와의 기대감을 심어주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잇습니다.어린이집에서는 친구들과 잘 놀기 때문에 조금만 동기부여를 해주신다면 등원이 훨씬 수월 할 수도 잇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해보기 바랍니다.

    아이가 문제 없이 잘 놀고 있다면 크게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아침에만 아이가 불안해 할 수 있으니 아이에게 친구들과 재미있게 놀고 오라고 따뜻하게 말을 하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 아이가 등원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면 어린이집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를 수시로 해주고 아이가 애착을 많이 보이는 물건을 함께 가지고 갈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등원하기 전날 아이와 함께 일일 계획안을 참고해서 내일 활동할 것을 미리 알려주세요

    예를 들면 만들기 수업이 계획되어 있으면

    '우리 아가 내일 토끼반에서 가면을 만드는 구나 재미있겠다 잘 만들어와서 엄마 보여줄 수 있지?'라고

    아이에게 내일의 활동에 대해 미리 알려주는 것도 등원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지게 하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등원을 싫어하는것이 아니라 힘들어하는 것입니다. 기질적으로 섬세하고 예민한 아이는 새로운 상황, 새로운 자극에 불안감이 높아져 경계심을 가지게 됩니다. 익숙해지고 편안해지는데 다른 아이보다 시간을 더 필요로합니다. 엄마의 설득이나 설명하는 말 또한 아이에게 자극으로 작용해 아이는 더 예민해질수 있습니다. 아이가 떼를 쓰며 가기싫다고 하면 아이의 이러한 기질을 이해하고 힘들어하는 아이의 마음에 공감해주고 아이가 차분해지기를 기다려주는것이 필요합니다. 어느순간 즐겁게 등원하는 아이를 만나게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등원을 거부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해요.

    일단 부드럽게 이해하고 수용해주는 것이 중요해요. 아이의 불안감을 이해하고 공감해준 후

    함께 등원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좋아요.

    아이가 집에서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책을 등원 가방에 넣어서 아이가 놀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6개월 된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하는 것은 흔한 현상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기 전에 저항하는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우선, 등원 전 미리 어린이집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 "오늘은 친구들과 어떤 게임을 할까?" 또는 "선생님이 너를 기다리고 있어!" 같은 긍정적인 언급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서의 활동이나 친구들과의 즐거운 시간을 기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등원 루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일어나고, 같은 방식으로 준비하며, 차에 타기 전 간단한 인사나 안녕을 하면서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갖게 하세요. 셋째, 어린이집에 가는 것이 재미있고 즐거운 경험이 될 수 있도록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고, 그날의 기대감을 표현해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등원 후 간단한 보상을 약속하거나, 어린이집에서 돌아왔을 때 그날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져보세요.마지막으로, 아이가 어린이집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교사와도 소통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생님에게 아이의 행동이나 반응에 대해 공유하고,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지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에 가는 것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경험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면, 아이도 점차 어린이집에 가는 것에 익숙해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서 잘 논다고 한다라면

    피곤해서 그렇습니다. 너무 신나게 놀아서 피곤하기 때문에 하루는 쉬고 싶다 라는 생각이 들어서 입니다.

    담임선생님께 내일 할 활동을 미리 전달 받으시고 아이에게 이렇게 말을 해주세요. “00야 내일 어린이집에서 신나고 재미있는 놀이를 한대, 재미있을 것 같지, 우리 00가 재미있는 놀이를 신나게 하려면 어린이집에 꼭 가야해” 라고 말을 해주시면 아이도 재미있는 놀이를 할 생각에 어린이집에 가야지 라는 생각을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서 특별한것이없으면

    아이에게 어린이집을 가야되는것을 알려주고 그대로 보내주시는것이좋겠습니다

    성인도 회사에 가기싫어하는마음이 있는것처럼 어린아이도 그러한것들이 표출되어 나타날수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