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티헌터입니다 충분히 집이 아파트인데 약 50년이나 된 아파트입니다 서울 용산구에 있고요 개발도 안 됩니다 땅이 시유지라고 하더군요 원래 이런가요
안녕하세요 시티헌터입니다 충분히 집이 아파트인데 약 50년이나 된 아파트입니다 서울 용산구에 있고요 개발도 안 됩니다 땅이 시유지라고 하더군요 원래 이런가요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용산구 전역은 투기 과열지구로 지정되어 매매시 토지거래허가제가 실시되고있습니디
토지거래허가제는 토지를 매매시 시.군.구청장의 허가를 받아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분간 용산구지역은 개발행위가
제한되어 엄격한 규제와 관리체제로 유지할 것이라 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시유지에 위치한 아파트의 경우, 재건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토지와 건축물 소유주가 분리된 구조적 문제로 인해 재산권 행사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용산구의 중산시범아파트는 54년 된 아파트로, 시유지 문제로 인해 재건축이 지연되었습니다. 최근에야 시유지 매각을 위한 감정평가가 진행되면서 재건축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따라서 시유지에 위치한 아파트의 경우, 재건축이 어려울 수 있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무래도 서울시 소유의 서부이촌동 소재 부동산들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이 땅은 서울시 소유로 건물만 지어 분양전환이 아닌 토지소유 건물 소유가 서로 다릅니다. 정말 위치는 좋은데 말이죠. 용산구 개발에 포함이 아직 안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토지의 가치는 오르나 건물은 노후화 됨에 따라 점차 가치가 상실되는 것인데 50년이면 아무 가치가 없는것입니다. 용산개발에 있어서 함께 개발 되어 어느정도 살고있는 사람들과 타협이 되거나 시의 땅을 매수하게하겠지만 이러한 타협이 전혀 안되거나 개인적인 이익이 너무 크게 작용되어 타협에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서울시 입장에서 보면 저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다 떠나면 더욱 개발이 쉽거나 이익을 나눌 수 있는데, 굳이 안해도 되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의 요지를 잘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개발이 가능항 땅이 있고 개발을 못하는 땅도 있습니다.
아니면 계획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으로 묶어둔 땅도 있고요.
다양하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