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갸름한원숭이116
갸름한원숭이11623.01.27

주식 매도 시, 2일 후에 돈이 들어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주식을 매도하게 되면, 매도 후 영업일 기준 2일 뒤에 돈이 들어오게 되는데 그런 이유가 무엇인가요?

왜 주문 체결 이후 즉시 들어오는게 아니라 이틀 뒤에 들어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의 매도시에 해당 주식의 대금을 현금으로 출금할 수 있는 기간이 2일이 걸리게 되는 이유는 증권거래소가 매일의 거래건에 대해서 '주주에 대한 명부'확정을 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증권거래소의 권리 명부확정은 장이 마감하고 난 후에 작업하는 것으로 통상 넉넉하게 2영업일의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즉, 주식을 매매하게 되면 증권거래소는 해당일의 주식거래를 확인하고 해당 회사에 대한 주식을 매입 혹은 매도를 한 사람들이나 기관들에 대해서 해당 회사의 주주명부를 등록하고 이에 대한 권리확정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전산작업으로 인해서 권리확정이 마무리되기 전 까지는 출금이 제한되어서 2영업일 뒤에 출금이 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 미국을 시작으로 이러한 전산작업 시간을 1영업일로 단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향후에는 1영업일 뒤에 출금이 가능해지는 날이 올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매도 시, 2일 후에 돈이 들어오는 이유는 T+2 체결 제도 때문입니다. T+2는 거래가 일어난 날부터 2일 후에 금액이 입금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는 주식 거래에서 거래 일과 입금 일 사이에 잔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는 주식을 매도할 경우, 거래가 완료된 다음 날부터 2일 후에 거래 금액이 입금됩니다. 이를 "T+2 체결거래"라고 합니다. 이는 거래가 완료된 다음 날부터 정산을 위해 기관들이 원금과 수익, 손실을 정산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정산 과정을 통해 매도 거래자들이 받을 금액을 계산하고, 기관들이 그 금액을 지급하는 과정이 2일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주식 결제 제도 자체가 그렇게 되어있기 때문이며, 당일 결제를 할 경우 자금 유출입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시장 상황이 불안정해 질 수 있다는 판단 하에 그렇게 제도화 해놓은 것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과 같은 경우 예탁결제원 등에서 정산이 이루어지며

    그리고 증권사 등을 거치기 때문에 2일이 필요한 것이며

    현재 기술력으로 1일까지 단축할 수 있고 추후 도입예정이나

    그 시점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