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처럼 해외배송할때 무배가 어떻게 가능한거죠?
알리처럼 해외배송할때 무배가 어떻게 가능한거죠? 천원짜리를 구입해도 무료배송인데 컨테이너 무게로 한다해도 국내택배배송으로 이어지는게 이해가 안되네요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국제연합(UN) 산하 국제 우편 업무를 담당하는 기구인 UPU는 1874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192개국이 가입되어 있습니다. UPU 협약에 따르면, 국영이든 민영이든 각 나라 우정기관(우체국) 간 국제 우편물 거래시 적용됩니다.
UPU는 4그룹으로 나눠 상대국 취급비 차등 보전합니다. 그러나 최근 해외 직구 등 국경 없는 전자상거래 시장이 커지면서 국가간 형평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발송 우체국은 목적지 우체국까지 물품을 운송하는 비용만 부담하고, 실제 목적지까지의 배송비용은 도착국 우체국이 책임집니다. 물론 발송 우체국이 손해를 보기 때문에 ‘배달국 취급비’가 생겨 발송국 우체국이 상대국 우체국의 손실비용을 보전해줍니다. 거래 당사국간 주기적으로 발송·도착량에 따라 상호 정산하고 있습니다.
상대국 취급비는 우편발전지수(PDI)에 따라 결정되어 국가별 우편배송체계와 경제 수준 등을 고려한 비교 지표로 이 우편발전지수에 따라 차등 보전됩니다.
미국, 일본, 영국 등 선진국 28개국은 1그룹으로 분류됩니다. 이들 국가의 우편체계는 목표시스템(Target system)으로 정의되며 해당 국가간의 비용정산은 실제 소요비용의 약 65%를 상호 보상해줍니다.
나머지 국가들은 발전 정도에 따라 2그룹(순 기부국), 3그룹(중간소득국, 개도국), 4그룹(저소득국, 최빈국) 중 하나에 속합니다.
이들 그룹 국가의 우편시스템은 과도시스템(Transition system)으로 불리며 해당 국가 간에는 단일 요율을 적용합니다.
우리는 2그룹에 속하며, 중국은 3그룹에 속합니다. 한국과 중국은 과도시스템 국가로 단일 요율의 배달국 취급비를 상호부과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한국의 서비스품질기금(Quality of Service Fund, QSF) 재정부담율이 중국보다 크다는 것입니다. 이에 우체국 시스템을 통한 중국과의 교역량이 증가할수록 손해를 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공격적인 배송료 정책을 내세울 수 있는 것은 만국우편연합(UPU) 협약 덕분입니다. UPU는 국제연합(UN) 산하 국제 우편 업무를 담당하는 기구로, 1874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192개국이 가입하고 있습니다. 보편적 우편요금으로 회원국 간 자유롭게 우편물을 거래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해외 직구 등 국경 없는 전자상거래 시장이 커지면서 국가 간 형평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UPU 협약은 국영이든 민영이든 각 나라 우정기관(우체국) 간 국제 우편물 거래 시 적용됩니다. 발송 우체국(발송국)은 목적지 우체국까지 물품을 운송하는 비용만 부담하고, 실제 목적지까지의 배송비용은 도착국 우체국(도착국)이 책임집니다. 이렇게 되면 배달국 우체국이 손해를 보기 마련입니다. 때문에 생긴 것이 ‘배달국 취급비’입니다. 상대국 우체국의 손실비용을 보전해줍니다. 거래 당사국 간 주기적으로 발송·도착량에 따라 상호 정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정산 비율이 서로 다르다는 점입니다. 우편발전지수(PDI)에 따라 회원국을 4가지 등급으로 구분해 정산 요율을 차등 적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편 발전지수가 높은 미국과 호주, 일본, 프랑스는 1그룹, 우리나라는 헝가리, 체코와 함께 2그룹, 중국, 브라질, 멕시코, 태국 등은 3그룹에 포함됩니다. 3그룹에 속한 중국의 경우 1그룹에 속한 나라들보다 상대적으로 싸게 국제 우편물을 발송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중국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의 판매자들이 직접 판매하는 플랫폼으로, 국내에서 도매가로 구입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 저렴한 가격 및 배송도 무료로 하여 상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송비가 무료인 경우는 UPU 회원국의 국제 우편 비용 부담 조건에 따라 중국 기업의 혜택이 적용되어 무료로 항공 우편으로 배송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에 따라 배송비는 상품 가격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니 잘 비교하시어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물품 판매 시 가격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 무료배송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무료배송인 경우에는 배송비가 이미 물품가격에 녹아져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표면적으로 무료배송이라 되어 있어도 다른 방향에서 비용을 매꾸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알리 익스트레스에서 무배송비로 판매가 되는 물품의 경우 우체국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USPS라고 하는 국제 협약에서 정해진 레벨이 다른 두 국가간의 보조금으로 인하여 중국이 우리나라에 보내는 물품에 대하여 국내 우체국 운송비용이 부과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된 내용의 설명을 참고링크드립니다.
https://deliveries.tistory.com/9
"선진국과 개도국사이의 경제력에 따른 차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죠. 여기서 용어 하나가 나오는데요, 배달국 취급비라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termianl dues라고 하는데요. 즉 알리에서 물건을 사고 배송을 하는데 있어 한국 우체국이 배달해주고 받는 돈이에요. 배달 원가 기준으로 이 취급비를 정하면, 원가가 비싼 한국은 원가가 싼 중국에 우편을 보낼때, 쥐꼬리만큼 줘도 되요. 하지만 우리가 물건을 받을때는 중국한테 걔들 입장에선 엄청나게 비싼 요금을 부과하는 거지요. 여튼 이게 불합리하다 해서 저 UPU가 선진국끼리는 실제 배송에 소요되는 비용의 대략 60% 정도를 상대국가에게 주고, 개도국인 중국은 미국 내 배송 비용중 30-60%를 부담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알리익스프레스의 배송방식은 만국우편연합(Univesal Postal Union) 협약을 이용(과 악용 그 사이)하는 체계로 UPU는 4그룹으로 나눠 상대국 취급비 차등 보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그룹, 중국은 3그룹으로서 한국의 서비스품질기금(Quality of Service Fund, QSF) 재정부담율이 중국보다 큽니다.
우리나라 우정사업본부는 본 사안과 관련하여 과거 미국의 경우 1그룹에 포함되어있어 수수료 차이가 많이 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과 취급비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물론 이에 따라 손해가 어느정도 발생은 하지만 어쨌든 제품가격에 운송비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취급비의 차이가 크지않다 정도로 이해됩니다.
과거 보도자료의 일부를 소개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당장은 미국과 같은 비용 불균형 문제는 없다는 게 우정사업본부의 진단이다. 1-3그룹과 달리 2-3그룹간 배달국 취급비 정산요율은 큰 차이가 없기 때문.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나라별 정산요율은 밝힐 수 없지만, 중국과 한국의 경우 정산요율은 거의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며 “또 취급비 자체가 국내에서 국내로 발송하는 우편비용보다 높기 때문에 해외 유입 우편물량이 많다는 건 우체국 입장에선 이득”이라고 귀띔했다. 중국에서 우리나라 혹은 미국으로 발송할 때 드는 운송 총비용 역시 차이가 크다. 미국에 비해 도착지 배송거리가 짧고 집중 배달 지역이 많아 도착비 배달비용을 따질 경우 미국과는 비교 대상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102218043328099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저렴한 제품은 우편 소포로 배송됩니다. 우편 소포는 국제 우편 협약에 따라 국가별 우편 요금이 저렴하게 책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중국은 세계 최대 우편물 발송국으로, 우편 소포 발송량이 많아 규모의 경제를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해외 직구를 장려하기 위해 우편물 보조금을 지원하기도 하며 물품가격에 운송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들이 대부분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만국우편협약으로 인하여 우체국 택배시에는 무료배송이 가능합니다.
이 협약에 의해 '발송 우체국(중국)'은 도착 국가(한국)까지의 운송비용만 부담하고, 도착 국가(한국) 안에서 이뤄지는 국내 배송은 도착지 국가(한국)의 우체국에서 책임지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알리에서의 무료배송은 보통 EMS 즉 우체국 소포로 운송을 하게 됩니다. 이때 EMS의 경우 국가별로 요금이 다르며 아직 개발도상국에 해당하는 중국의 경우 저렴하게 운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무료배송이 가능하다고 보실 수 있으며 다만 이에 대하여는 추측이기에 정확한 사유는 확인이 어려운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