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금리인하를 하여 한국은행도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다고 하던데 현재 우리나라는 금리인하를 하면 어떤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나요?
미국이 금리인하를 재개하여 한국은행도 금리인하에 대한 가능성이 높다고 하더군요
만약 현재 시점에서 우리나라가 금리인하를 할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어떤 문제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 유출과 원화 약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물가 불안이 재차 커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미국보다 빠른 금리 인하는 금융시장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에서 금리 인하를 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금리 인하시 추가로 시중에 현금이 풀리기에
부동산 등의 가격이 더 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얘기 나오면 늘 기대 반 걱정 반이죠. 지금 우리나라가 금리를 낮추면 당장 대출 이자 부담은 줄어들고 소비가 살아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근데 반대로 원화 가치가 약해져서 환율이 오를 수 있고 자본이 빠져나가는 흐름도 생길 수 있습니다. 물가가 안정된 게 아니라면 물가 자극으로 이어질 수도 있고요. 특히 미국이랑 금리 차이가 커지면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단순히 경기 부양 효과만 보고 내리기엔 위험이 따르는 상황이라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은 높지만, 만약 인하를 하게 된다면 가계부채 급증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가계부채 수준은 GDP의 2배 이상으로 전세계에서 TOP 수준입니다. 그래서 금리 인하는 국가 경제 위험 수준으로 갈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과의 금리 차이도 1.75%로 많이나는 상태이므로 원화 가치 하락이 더 커질수 있어 이 부분도 문제가 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나 여러나라에서 금리인하를 한다면 대출에 대한 부담은 적을수 있으나 시장경제에 더 많은 자금이 유입이 되는것으로 인해 딘의 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전보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니 물건들의 가치가 올라 가격잋상승한다고 볼수 있습나다. 아러한 것은 한번상승하면 다시 회복하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우리나라도 금리 인하를 따라갈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부작용으로 가계 부채가 더 늘어나거나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줄어들면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한국이 금리인하를 할 경우, 주택시장과 소비자 대출이 자극을 받을 수 있으나
동시에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촉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원자재 가격 상승과 맞물려 물가가 다시 오를 수 있고
이는 실질 구매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가 기업의 과도한 차입을 유도할 경우
향후 경기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으며, 부채 부담이 늘어날 위험이 있습니다.
이처럼 금리 인하는 단기적인 경기 부양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물가 상승과 금융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한국은 현재 서울 아파트 가격이 2023년 하반기부터 다시 상승세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인하는 부동산 시장을 재점화시킬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즉 서울의 수도권의 주택가격이 하락 압력으로 떨어져야 하며 가파른 가계부채의 증가세가 떨어져야 합니다.
경기침체 우려와 내수 부진과 미국 금리인하에 따른 대외적 압력으로 인한 환율의 안정세가 일어나야지 한국도 금리인상이 아니라 금리인하로 정책방향이 변할 수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금리 인하를 하면 대출이 늘어나
가계 부채가 늘어날 수 있꼬
주택 가격 상승 문제가 다시 나올 여지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