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교통사고 후 어깨통증 치료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제 과실 0 상대방 과실 100의 경미한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제가 거북목이 심해 원래도 도수치료를 받고 있었고 거북목으로 인한 어깨통증도 있었습니다 병원들에서는 거북목으로 인한 어깨통증이라는 진단을 받았었는데 이번 교통사고 이후 어깨에서 극심한 통증과 움직일 때마다 뚝뚝 소리가 납니다 어깨충돌증후군인것 같은데 이런경우 회전근개가 파열되지 않으면 비수술적인 치료를 한다고 하는데 자동차보험으로는 도수치료나 체외충격파가 되지 않는 것 같아 걱정입니다
1) 다음주에 MRI를 촬영할 예정인데 앞으로의 치료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2) 그리고 이런경우 상해등급은 몇등급이 나올까요?
3) 이런 경우에도 외상으로 인한 것이 아니러 퇴행성으로 나올 가능성이 있나요?
MRI 검사를 한 후 검사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상해급수도 검사결과에따라 달라지게 되며 외상성인지 퇴행성인지도 검사결과에따라 달라집니다.
다만 외상성이라도 도수치료나 체외충격파는 자동차보험에서 보상하지는 않습니다.
정밀 검사를 받아 보고 결과에 따른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야 하겠습니다.
정밀 검사로 어떠한 진단이 나오는지 확인이 되어야 최종 상해 급수가 결정되겠으나 해당 질병이 상해가 아닌
퇴행성이 큰 경우 별도의 상해 급수의 조정이 되지 않을 수 있고 현재 상해 급수는 12급에 해당합니다.
퇴행성 여부는 정밀 검사 후 판독에 따라 결정이 되며 상대 보험사는 해당 사고로 가중된 부분만을 보상을 하게
되며 비급여 치료에 대해서는 대인 담당자와 협의 후에 진행을 해야 추후에 분쟁이 되지 않으니 얼마나 가능한지
확인을 한 후에 치료를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1) 다음주에 MRI를 촬영할 예정인데 앞으로의 치료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 치료비에 대해서는 보험사에서 의료기관에 지불보증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자동차보험 수가에 따른 치료는별도의 부담없이 치료를 받으면 되나, 자동차보험 수가가 적용되지 않는 치료의 경우에는 별도로 부담하게 됩니다.
통상 의료기관에서는 자동차보험수가가 적용되는 치료외에는 피해자에게 별도로 본인부담을 안내하고 치료를 하게 되어,
현재 몸상태를 살펴 자동차보험 수가 외의 치료도 받을 것인지를 판단하시면 됩니다.
2) 그리고 이런경우 상해등급은 몇등급이 나올까요?
: 정확한 것은 진단명을 확인하여야 하나 회전근개파열이 없다면 12급일 것으로 보입니다.
3) 이런 경우에도 외상으로 인한 것이 아니러 퇴행성으로 나올 가능성이 있나요?
: 이는 검사결과에 따라 체크를 해야 할것이나, 질문내용만 보아서는 기본 퇴행성 질환에 일부 사고기여도가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즉, 사고로 인하여 악화되었다고 판단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
경미한 교통사고가 어느 정도인지는 모르겠으나,
사고 충격으로 기존에 있었던 질병이 더 악화가 되었다면,
치료가 가능합니다.
도수치료 또한 자동차 보험으로 치료를 할 수 없는 것이 아니고,
충분한 물리치료를 했음에도 호전이 되지 않는다면,
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의해 도수치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자동차 보험으로 하는 도수치료는 의료수가가 낮기 때문에,
병원에서는 좋아하지 않습니다.
1) 다음주에 MRI를 촬영할 예정인데 앞으로의 치료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Mri 촬영 결과 기존에 있었던 질병이라도 사고고 악화가 되었다면 진단에 맞는 합당한 치료가 이루어 질 것입니다.
2) 그리고 이런경우 상해등급은 몇등급이 나올까요?
상해등급 아직 어떤 진단이 나오지 않았기에 말씀 드릴 수 없으며, 보통 경상이면 12~14급 정도 나옵니다.
3) 이런 경우에도 외상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퇴행성으로 나올 가능성이 있나요?
퇴행성이라도 앞서 말씀드린데로 사고 이후에 악화가 되었다면 특별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