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다이어트 중인데 원래 물만먹어도 살이 찌는편인데
안녕하세요 제가 배도 너무 나오고 요새 몸이 너무 무겁고 피곤해서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데 굶는다는게 쉽지가 않네요 영리한 다이어트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똑같은 열량의 음식을 먹어도 어떤 사람은 살이 찌고 어떤 사람은 살이 찌지 않습니다.
원인은 영양분을 흡수하는 대사 기능의 차이입니다.
때문에 체중 감량을 위해 무조건 굶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불규칙한 식사가 습관이 되면 오히려 대사 장애를 불러와 살이 찌기 쉬운 체질로 변합니다.
우리 몸의 대사 과정에서 섭취한 영양분을 에너지로 바꾸어서 소비하는 것이 비타민과 무기질입니다.
불규칙한 식사로 인해 비타민이나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질이 부족해지면 지방의 연소를 방해해서 지방이 체내에 그대로 쌓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살을 빼기 위해 운동을 한다고 하더라도 정작 지방은 연소가 안 되고 피로만 쌓이게 됩니다. 충분한 비타민 무기질은 섭취하며 탄수화물 제한식이를 권해드립니다.하나 아셔야할게 무작정 굶으시면 우리 몸은 기아상태로 인식하고 에너지를 아끼게됩니다.
신진대사가 떨어지고 에너지를 아껴놔야하기 때문에 조금만 먹게되어도 이걸 지방으로 축적해놓으려고 하게됩니다.
살을 빼는데는 최악의 메카니즘이 작동하는거죠.
그래서 체중조절을 할때 막무가내로 굶는것이 아니라 신진대사를 유지하기 위해서 운동을 해주고 적절한 식사를 하면서 해야하는겁니다.
이 식사는 아무래도 빠르게 혈당을 올려서 인슐린이 분비되고 열량을 지방으로 축적시키는 당분위주의 식사보다는 천천히 혈당을 올리는 잡곡, 채소 위주의 식사를 하시는게 맞겠으며 단음식을 완전히 다 끊어주셔야합니다. 음료수, 과자, 설탕, 카페에서 먹는 단 음료 이런거 다 끊어주시는게 맞겠습니다.
운동은 유산소운동도 좋고 근력운동도 좋습니다. 하지만 더 효율적은건 근력운동입니다. 유산소운동은 오늘 하루 열량만 소비해주는 역할이지만 근육이 붙는다는건 매일마다 열량을 태워주는 기초대사량이 올라간다는 이야기니까요.
효율적인 운동은 더 큰 근육을 훈련하는거고 하체>등>가슴>어깨 순서로 큰 근육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음식을 단순히 먹지 않는 것은 건강을 해치기 쉽고, 폭식을 유발하여 요요현상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단식을 하기 보다는 균형잡힌 식단과 함께 적절한 운동을 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또한,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몸 속의 나쁜 노폐물을 바깥으로 내보내는 한방다이어트를 병행하시길 바랍니다.
굶는 방식의 다이어트는 일시적인 체중 감량은 가능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 요요 현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큽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적절히 포함된 식단을 구성하세요. 단순 탄수화물(백미, 흰빵 등)보다는 복합 탄수화물(현미, 통곡물, 고구마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백질은 근육을 유지하고 식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한 번에 많은 양을 먹기보다는 하루에 여러 번 소량을 먹어 체내 에너지 수준을 균등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방법은 과식을 예방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식단 조절과 더불어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산소 운동(걷기, 조깅, 수영 등)과 근력 운동을 조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근력 운동은 근육량을 증가시켜 기초대사량을 높이고, 체중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은 신체의 대사를 촉진하고, 포만감을 느끼는 데 도움이 됩니다. 때때로 우리는 갈증을 배고픔으로 오인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물 마시기는 중요합니다.
충분한 수면은 호르몬 균형과 신진대사에 중요합니다. 수면 부족은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하루에 7-8시간의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이어트를 하더라도 식단조절을 하면서 해야하며 굶는 방법은 건강에도 좋지 않고 이후 요요현상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하지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균형있는 식습관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운동을 해주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성공적인 다이어트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대면 상담없이 작성된 댓글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기저질환이 없다는 가정하에)
소위 저탄수화물 유지가 그나마 실천하기가 좀 나아보이긴 합니다
+ 유산소/무산소 운동을 동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