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위절제수술 병력이 있으면 담도계암 위험요인이라는데 맞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0

건강관리 책에 위절제수술 병력이 있는 사람은 담도계암 발생위험이 늘어난대요ㅠ 정말인가요?

그럼 위암으로 인해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위절제수술 병력이 있어도 담도계암 발생위험이 늘어나나요..?

위esd내시경시술로는 담도계암 발생위험이 늘어나지않죠?

맞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성현 내과 전문의
      신성현 내과 전문의
      서울에이스내과의원 (개원예정)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위절제수술 병력이 있는 경우 담도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위암으로 인해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위를 절제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위절제수술 후에는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화들이 담도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담도계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위절제수술 후 담도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위산 감소: 위절제수술은 위산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소화 효율성 감소와 장내 미생물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담도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담즙 역류: 수술 후 담즙이 위 또는 식도로 역류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담도 및 위 점막에 염증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3. 내부 환경 변화: 위절제수술은 소화기 내부 환경을 변화시키고, 이러한 변화는 담도계암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관련논문에 대해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Increased risk of biliary tract cancer following gastric surgery

        https://www.nature.com/articles/bjc198898

        위 논문에서 위절제수술과 담도계암 발생 위험 증가 사이의 관계는 여러 연구를 통해 뒷받침됩니다. British Journal of Cancer에 의하면, 위궤양으로 위절제수술을 받은 4,466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수술 후 처음 20년 동안은 담도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지 않았으나, 20년 이후에는 위험이 9.4배 증가했습니다. 특히 위궤양으로 수술받은 환자는 15.8배, 십이지장 궤양 환자는 5.1배 위험이 증가했으며, 이 증가된 위험은 담낭암에 한정되었고 담도암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Occurrence of non-gastric cancer in the digestive tract after remote partial gastrectomy: analysis of an Amsterdam cohort

        https://pubmed.ncbi.nlm.nih.gov/2228307/

        또한, PubMed의 연구에 따르면 암스테르담 코호트의 2,633명의 위절제수술 환자를 분석한 결과, 수술 후 5년 이상 지난 남성에서 담도계암과 췌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했습니다. 이 연구는 남성에서 수술 후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감소했다는 것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담도계 및 췌장암으로 인한 과잉 사망률은 용량-반응 현상과 일관되며, 이는 위 잔여 부분에서만 국소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아니라 간에서 분비되어 담도 및 췌장관에서 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로 추정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