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공단 평균보수월액 기준월액 연봉계약서와 급여가 맞지않을때
안녕하세요. 현재 신입사원으로 다닌지7개월차가 됐습니다.
수습기간3개월을거치고 난 이후 제가 받고있는 수령 평균월금액은
세전금액은 대략 260만원중반 이며 (세후는 230만원초반받는중입니다.)
보통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공단에서 나와있는
평균보수월액은 세전금액으로 들어가는걸로알고있습니다.
근데, 수습 초반에 평균보수월액 3달은 183만원으로 나오고있고 (최저월급*201만원 보장? 도 받지못한 금액)
이후에도 쭉 현재까지 (260만원이아닌) 183만원으로 신고가되어있습니다
이부분에대해서 회사에 건의를 5번이나 넘게 문의를 한 상황이나, 아무 답변도하지않으시고
현재 3주째 세무소에서 검토중이라고만 말씀하시네요. 기피하는경향이보이시는거같고..
의심을하고싶지않은데 세금신고를 제대로하지않는것인지 제가 직접움직여서
평균보수월액을 신고를해서 정정을하는게 맞는것인가 싶어서 질문을올립니다.
혹시나 신고를 제가안하게될시 나중에 문제가 생기는건지 의아해서 올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사실상 상관 없습니다.
183만원 기준으로 4대보험을 납부하더라도 추후에 1년간 급여를 기준으로 재정산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근로자 입장에서도 실수령액이 더 많기 때문에 기간이자만큼 이득을 볼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