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으로 머리카락이 왜 곱슬과 직모로 나뉘어지나요?
사람마다 머리카락이 직모도 있고 곱슬도 있는데요. 이게 유전적으로 어느 쪽이 생존에 유리하기에 이렇게 나뉜 것인지 모르겠어요. 생김새가 이유 없는 형태는 없다고 생각하기에 혹시 직모와 곱슬이 왜 나뉘어서 생겨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머리카락의 곱슬과 직모는 주로 모낭의 모양과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둥근 모낭에서는 직모가, 타원형이나 비대칭적인 모낭에서는 곱슬머리가 자라납니다. 현재까지 어느 한쪽이 생존에 특별히 더 유리하다는 명확한 생물학적 증거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곱슬과 직모는 특정 유전자 변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유전자는 TCHH(Trichohyalin) 유전자로, 이 유전자의 변이가 머리카락의 단면 형태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직모의 경우 머리카락 단면이 원형에 가깝고, 곱슬머리의 경우 타원형에 가깝습니다. 이 단면 형태의 차이가 머리카락이 자라면서 휘어지는 정도에 영향을 미쳐 직모 또는 곱슬머리 형태를 띠게 되는 것이죠.
다만, 곱슬과 직모 머리카락 형태가 존재하게 된 이유를 진화적인 관점에서 보면, 특정 형질이 유리하여 널리 퍼지거나, 특정 환경 조건에 더 잘 적응한 개체가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여 그 형질이 유지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그에 따른 가설이 주장되고 있습니. 하지만 현재까지 직모 또는 곱슬머리 중 어느 한쪽이 뚜렷하게 생존에 유리하다는 과학적 증거는 부족합니다.
결론적으로 머리카락 형태를 결정하는 유전적 요인은 밝혀졌지만, 직모와 곱슬이 왜 나뉘어서 생겨나게 되었는지는 아직 정확히 알지는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