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는 날 또는 비온 후 지렁이에 대해서 궁금한점
비오는 날이나 비온 후 길가를 지나다녀보면 막 길가 바닥에 지렁이가 기어다니고 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왜 비오는날에 지렁이가 지상으로 올라오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비 오는 날이나 비가 온 후에 길가에서 지렁이를 볼 수 있는 이유는 지렁이의 호흡 방식 때문입니다. 인간의 경우 폐호흡을 하는 생명체이지만, 지렁이의 경우 피부호흡을 하는 생명체인데요, 이들은 축축한 피부를 통해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흡수하고, 체내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방출합니다. 비가 오면 지렁이가 서식하는 토양의 공기층이 물로 채워져 산소가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지렁이는 산소를 더 잘 흡수할 수 있는 환경을 찾기 위해 지상으로 올라올 수 있습니다. 또는 지렁이는 일반적으로 땅 속에서 살아가며, 건조하거나 극한의 환경에서는 움직이기 힘듭니다. 그러나 비가 오면 땅이 촉촉해지고, 지렁이가 이동하기에 좋은 조건이 됩니다. 비 오는 날은 지렁이들이 더 멀리 이동하거나 새로운 서식지를 찾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므로, 이때 지상으로 올라와 이동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통풍이 잘 되는 흙 속에서 살기 때문에, 비가 오면 흙이 너무 축축해져 호흡이 어려워집니다.
비는 지하에 있는 지렁이의 터널을 물로 채울 수 있으며, 지하로 물이 침투하여 지렁이의 터널이 물에 잠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지렁이는 지상으로 올라와서 물을 피하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비가 많이 오는날 지렁이가 땅 밖으로 올라오는 이유는 호흡하기 위함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지렁이는 흙속에서 돌아다니며 흙속 미생물을 먹고 분해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기도 하고 흙 내부를 돌아다니며 공간을 만들어 산소를 공급하기도 하는데요. 비오는 날엔 그 틈새로 빗물이 차게되면 지렁이가 호흡할 수 없게 되므로 땅 밖으로 올라오게 되는 것 입니다.
숨을 쉬기 위해서입니다.
지렁이는 피부로 호흡하는 대표적인 동물입니다.
하지만 비가 오면 땅이 비에 젖고 비에 젖은 땅은 지렁이의 피부호흡을 방해하게 되고 지렁이가 숨을 쉬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지렁이는 비가 오면 숨을 쉬기 위해 지표면 근처로 올라오는 것이죠.
비 오는 날이나 비가 온 후에 지렁이가 지상으로 올라오는 이유는 주로 두 가지입니다. 첫째, 지렁이는 습한 환경에서 살아가는데, 비가 오면 지하의 토양이 충분히 습해져 지렁이가 지상으로 나올 때 건조해질 위험이 줄어듭니다. 둘째, 비가 오면 토양이 물에 잠겨 산소 공급이 줄어들어 지렁이들이 호흡을 위해 지상으로 올라오는 것입니다. 이때 지상은 물에 젖어 있어 지렁이들이 이동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