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유독 혼자노는걸 좋아하는데, 괜찮은걸까요?
친구들끼리 모임을 해도 혼자 놀고 , 학교에서도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다고 하는데, 혼자 노는거에 이상함을 느끼지 않고 즐거움이 있다고 하면, 사실상 괜찮은건가요?
아이가 유독 혼자 노는걸 좋아하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내향적인 성향, 자기 성찰 능력, 창의력과 집중력이 높은 경우 혼자 노는 걸 즐기는 아이들의 특징입니다.
외로움이나 소외감을 느끼는데 표현을 하지 못하는 경우,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있어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자기 자신을 지나치게 고립시키는 경향이 있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유독 혼자 놀이를 즐기는 이유는
혼자 놀이를 해도 전혀 심심함을 느끼지 못함이 크구요.
그 다음의 원인은 아이의 기질 자체가 타인과 함께 어울리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서 입니다.
즉, 아이의 기질이 소극적이고, 소심하고, 낯가림이 심하고, 부끄러움이 많고, 조용하고, 내성적이고, 내향적인 성향이
짙다 라면 타인과 함께 즐기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큽니다.
혼자 즐기는 놀이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사람은 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라는 삶에서 살아가는 부분이
큽니다. 그렇기에 아이가 다양한 사람과 소통하며 지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엄마 말씀처럼 아이가 혼자 노는 걸 즐겁게 느낀다면 크게 문제는 아니예요. 성향 자체가 내향적이거나 자기만의 놀이에 집중하는 걸 좋아하는 아이들도 많거든요. 다만 또래와의 관계 기술은 언제가 꼭 필요한 부분이니, 억지로 친구랑 놀게 하기보다 짧고 긍정적인 경험을 조금씩 늘려주는 게 좋아요.
예를 들어 "같이 블록 한번만 쌓아보자" 처럼 작은 협동놀이를 경험하게 해주면 돼요. 아이가 혼자 노는 걸 존중하면서도 사회적인 기술을 자연스럽게 배워갈 기회를 조금씩 만들어 주는 게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에요.
안녕하세요.
그러한 기질이나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아이가 혼자 있거나 혼자 노는 게 힘들고 같이 놀고 싶은데 그러지 못해서 힘든 거라면, 그건 조언이나 중재가 필요할 수 있지만요. 아이가 스스로 혼자 노는 걸 편하게 여기고 좋아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진 않아요.
다만, 아이의 사회성과 정서 발달을 위해서 아이가 다른 친구들과도 노는 경험을 만들어 주시는 게 중요해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혼자 노는 것을 즐기고 행복해한다면 큰 문제는 아닙니다. 다만 친구 관계 형성이 전혀 없거나, 타인과의 소통을 피하거나 불안해한다면 사회성 발달을 위해 관찰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원하는 혼자만의 시간을 존중하되 협동놀이 경험을 조금씩 늘릴 기회를 주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