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다시봐도빛나는코스모스
다시봐도빛나는코스모스

아이가 자꾸 울면서 요구를 들어달라고 할 때 어떻게 침착하게 아이를 대하면서 요구를 조정할 수 있을까요?

아이가 본인이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떼를 많이 씁니다. 울면서 요구를 들어달라고 하기도 해서 화가 날 때가 참 많습니다. 어떻게 하면 아이의 요구를 조정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가 떼를 쓸 때에 어떻게 지도를 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 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이해하고 진정시킨후 울지 않고 요구를 표현하는 법을 가르쳐 주세요. 요구를 수용할지 판단할 때는 일관된 기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울면서 요구를 들어달라고 한다면 단호함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여태껏 아이가 울면 아이의 원하는 요구를 다 들어주었던 부모님의 태도가 아이의 잘못된 습관으로 길들여지게 한 것 같아요.

    아이가 울면서 자신이 요구를 들어달라고 한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울면서 너의 뜻을 다 받아주라고 하는 태도는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울면서 자신의 뜻을 들어달라고 요구를 하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더나아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고 싶다면 울지 않고 또박또박 언어로 조곤조곤 전달을 해야 함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떼를 쓰는 시기가 있습니다 언어를 배우고 사용 하는 단계에서 언어로 자신을 표현하기가

    어려울 때 울거나 소리 지르면 떼를 사용합니다 떼를 쓰면 본인이 원하는 것을 쉽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매우 좋기 때문에 말로 하지 않고 울기만 합니다 엄마들은 아이가 울기만 해도 아이가 원하는 걸 척척 해결 해 주니

    아이의 입장에서는 우는 것이 가장 쉽기 때문에 엄마를 설득하지 않고 울어서 본인이 원하는 걸 얻으려고 합니다

    엄마는 아이에게 울지 말고 바르게 또박또박 말로 해야 너가 원하는 것을 들어 줄 수 있다고 말 해야 합니다

    이때 엄마가 화가 난 목소리나 흥분한 목소리로 이야기 하면 아이도 흥분 할 수 있어 훈육이 되지 않습니다

    차분한 마음을 가지고 아이에게 이야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떼쓰는 행동은 종종 그들의 감정이나 필요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요구할 때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은 중요하며, 몇 가지 방법을 통해 아이의 요구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첫째,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세요. 아이가 울 때 "네가 원하는 것을 못 얻어서 슬프구나"와 같은 말을 통해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이 수용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둘째, 아이에게 대안적인 선택지를 제공하세요. 예를 들어, 원하는 장난감이 아닌 다른 장난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안하거나, "지금은 이건 안 되지만 나중에 할 수 있어"라고 말함으로써 아이가 자신의 요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셋째, 규칙을 일관되게 유지하세요. 떼쓰는 행동이 반복되면, 아이가 어떤 행동이 수용되고 어떤 행동이 수용되지 않는지를 배우게 됩니다. 예를 들어, “울면 원하는 것을 줄 수 없어”라고 설명하며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네가 지금 속상한 거 알아'라고 말해주면 아이가 진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 다음 울음을 그칠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울음으로 일이 해결되는 것을 느끼게 된다면 아이는 문제 해결 방법으로 울음을 택하게 됩니다. 울어도 상황은 변하지 않는다는 걸 경험해야 합니다. 울음이 멈춘 후에는 왜 그 요구를 들어줄 수 없는지 간단하게 설명하세요.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말로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길게 설명하는 것도 오히려 좋지 않습니다. 차분히 아이의 감정이 사그러질때까지 기다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도 아이의 감정을 조절하는 것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하지만 떼를 쓴다고 아이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지 마시기 바랍니다.

    규칙을 정하고 일관된 대응을 해주세요

    아이에게 다른 대안을 제시해 주시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이의 올바른 반응에 칭찬과 보상을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시간을 주세요. 아이가 울고 있을때는 잠시 시간을 주어 감정을 가라앉히게 하세요. 몇분후 다시 대화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가 침착함을 유지하면 아이도안정감을 느끼게 됩니다.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조용히 아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대화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