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달에 1~2회 마시는데 고위험 음주상태?
건강검진을 했는데 제가 술을 잘 안마시고 마셔도 1병정도 마셔서 술을 얼마나 마시냐는 질문지에 달에 1~2회 정도, 1병정도 마신다고 썼습니다. 주량은 1병반, 2병 이상 마시면 게워내고 술이 깨지도 않고 숙취도 있긴합니다 마실때 빨개지지 않고 오히려 하얘집니다. 그런데 2년에 한번씩 건강검진 할때마다 문제가 있는건 척추측만증이나 조금의 빈혈 말고는 다 정상으로 나오고 운동을 주1회에서 5회정도를 하라는 얘기는 있지만 왜 술은 항상 절주나 금주를 하라고 결과가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강신우 한의사입니다.
건강검진에서 절주나 금주를 권고받는 이유는 단순 음주량뿐 아니라 기저 건강 상태와 약물 복용까지 함께 고려되기 때문입니다.
술을 자주 마시지 않더라도, 항우울제를 복용 중이라면 중추신경계 작용이나 간 대사에 부담이 생길 수 있어 음주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또한 빈혈과 기립성 저혈압이 있는 경우, 음주 시 혈관이 확장되며 어지럼증이나 저혈압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술을 마실 때 얼굴이 붉어지지 않고 창백해지는 반응도 자율신경계나 대사 기능의 예민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런 요소들 때문에 검진 시스템에서는 예방적 의미에서 절주 권고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가 있다는 뜻이라기보다는, 현재처럼 조심스럽게 음주를 제한하는 태도를 계속 유지하라는 의미에 가깝습니다.
2병 이상 마시면 구토나 숙취가 심한 것도 간 대사 능력이 다소 낮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본인의 몸 반응을 인지하고 음주를 조절하는 지금의 태도는 매우 바람직합니다.
검진 결과에 너무 걱정하기보다는, 건강한 생활 습관을 지속해 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질문자분의 건강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Relationship of Alcohol Consumption to All-Cause, Cardiovascular, and Cancer-Related Mortality in U.S. Adults (J AmColl Cardiol 2017;70:913–22)
알콜 섭취량과 이로 인한 모든 문제의 관계를 나타낸 자료 중 하나입니다.
대략 1주일에 10 drink 까지는 문제가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1 drink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The following are reference beverages that are 1 alcoholic drink–equivalent: 12 fluid ounces of regular beer (5% alcohol), 5 fluid ounces of wine (12% alcohol), or 1.5 fluid ounces of 80 proof distilled spirits (40% alcohol))
환자분은 1달에 2회 소주 2병이면 1달에 소주 4병 그러니까 1주일에 한 병 정도네요.
이 자료에 따른다면 환자분의 음주량은 특별히 문제가 될만한 양은 아니네요
또한 이 자료를 바로 참고하시는 것도 문제가 있는 것이 인종 차이가 있으니까요
음주 진료 지침
Korean Alcohol Guidelines for Primary Care Physician (Korean J Fam Pract. 2021;11(1):14-21)
솔직히 음주량이 많지 않으신 편이며 딱히 문제될 것 없어 보이긴 합니다만, 검진을 할 때에는 건강보험공단에서 정해놓은 음주에 대한 기준이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아무래도 질문자님의 경우에는 1회 1병을 섭취를 한다는 것 때문에 설문에 대한 내용을 보고 자동적으로 그러한 경고 내용이 출력되는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