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커피 카페인을 마셔도 잠이 잘 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제가 커피나 카페인 음료를 마셔도 잠을 너무 잘잡니다..

최근에 시험이 있어서 한번도 먹지 않던 커피음료를 두잔 들이켰는

전혀 효과가 없었고 그냥 졸려서 자버렸거든요..

저같은 사람이 있는지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커피나 카페인 음료를 많이 마셔도 잠이 오는 것은 무엇때문인지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커피나 카페인 음료를 마셔도 잠이 잘 오는 이유는 사람마다 카페인을 처리하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유전적 요인이나 평소 카페인 섭취량에 따라 카페인에 대한 민감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카페인을 빨리 분해해 효과를 거의 느끼지 못하고, 또 다른 사람은 아예 둔감하게 반응하기도 하죠. 따라서, 카페인을 많이 마셔도 졸리거나 수면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어요. 

  • 일반적으로 커피의 카페인은 졸음을 쫓고 각성 효과를 주지만, 체질이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사람마다 카페인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은 소량의 카페인에도 예민하게 반응하여 잠을 못 이룰 수 있지만, 어떤 사람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카페인을 섭취해도 잠을 잘 잘 수 있습니다.

    또 카페인의 효과는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3~5시간 정도 지속됩니다. 즉, 잠자기 직전에 커피를 마시면 카페인이 혈액에 남아있어 숙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불편한 침구, 소음, 빛 등 수면 환경이 좋지 않으면 카페인의 영향과 상관없이 잠들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개인마다 카페인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카페인 대사 능력, 아데노신 수용체의 수, 수면 부족 정도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카페인 효과를 체감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카페인 내성이 생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습관적으로 카페인을 섭취하면 몸이 적응하여 같은 양의 카페인으로는 효과를 느끼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규칙적으로 카페인을 섭취하면 몸이 그것에 익숙해져서 효과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평소에 카페인을 많이 마시는 사람은 같은 양을 마셔도 효과가 덜할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카페인을 대사하는 속도가 다르며, 일부 사람들은 유전자 때문에 카페인에 덜 민감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카페인에 대한 개인의 반응은 다을 수 있어요

    일부 사람들은 카페인에 자극과 효과를 못 느끼기도 하고요

    이미 내성이 생기신 분들도 많아요

  • 안녕하세요.

    커피를 조금만 마셔도 잠이 안 온다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아무리 마셔도 잠드는 데 문제가 없다는 사람이 있습니다. 인간은 낮 동안 수많은 신체활동을 하는데요, 이 과정에서 뇌는 부산물로 아데노신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데 해당 물질이 우리 몸에 분포돼 있는 아데노신수용체와 결합하면 신체활동을 억제하기 위해 수면을 유발하게 됩니다. 그런데 아데노신수용체는 카페인과 아데노신을 구분하지 못하는데요, 이는 카페인의 분자구조가 아데노신의 특정부위와 비슷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커피를 마시면 그 속에 들어 있는 카페인이 아데노신 대신 아데노신수용체에 붙어 수면작용 대신 각성작용을 일어나게 합니다. 전문가들은 카페인 대사반감기가(섭취한 카페인양을 우리 몸이 제거하는 데 걸리는 시간) 대략 5시간이기 때문에 수면을 위해서는 카페인 농도가 약 50mg 정도로 떨어져야 한다고 하는데요, 커피가 종류마다 차이는 있지만 한 잔당 150~200mg 정도의 카페인양을 지녔기 때문에 2잔 이상, 특히 오후 늦게 마시면 총 수면시간 감소 또는 수면의 질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때 낮의 활동량과 간에서 카페인이 대사되는 능력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커피를 마셔도 잘 자는 사람과 못 자는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잠이 잘 온다는 사람도 카페인양이 많거나 잠자는 시간 가깝게 커피를 마시면 잠드는 덴 문제가 없다고 느껴도 깊은 잠이 줄고 얕은 잠이 증가해 수면의 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카페인을 섭취하면 보통 멜라토닌 분비가 지연되어 잠이 안 오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잠이 오는 거면 이 작용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은 체내 신경전달물질인 아데노신 대신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며 몸이나른해지는 작용을 방해합니다. 보통 한번 섭취한 카페인의 반감기는 약 12시간정도 되기때문에 하루가 지나도 4분의1이나남아있는 상태가되죠.

    여기서 매일 커피를마시게되면 이렇게 각성되어있는 상태마저 적응되어 나른해지는 느낌을 받게됩니다. 반면 밤에는 충분한 수면을하지못해 체내에 피로물질들이 잔뜩 쌓여있기때문에 나른해지고 피곤해지는 느낌은 점점강해집니다.

    즉, 매일마시는 커피의 카페인에 대해서 내성이생기고 피로감은 더해지기때문에 나중이되면 아무리커피를마셔도 졸린상태가됩니다.

    이럴때에는 차라리 커피를 몇일동안 끊고 오랜시간 수면시간을 가져 충분한휴식을 취한다음 정말 집중이필요할때만 선택적으로 커피를 마시는것이 좋습니다.

    시기로는 약3일에 한번정도 마시는것까지는 괜찮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