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가 고평가된 상태가 맞나요?
워렌 버핏이 채권을 최대 규모로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만큼 미국 주식이 너무 비싸졌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할까요? 지금 사는 것은 너무 위험할까요?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분들이 요즘 미국 증시의 고평가 여부에 대해 고민하고 계시죠. 워렌 버핏이 채권을 대규모로 보유한 소식이 더 큰 관심을 끌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국 증시는 기술주를 중심으로 PER(주가수익비율)이 역사적 평균을 웃돌아 일부 고평가된 측면이 있습니다. 워렌 버핏의 채권 보유 확대는 고금리 상황에서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려는 전략으로, 주식 시장의 높은 리스크를 감안한 판단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은 방어주나 가치주를 중심으로 분산 투자하거나, 일정 비율의 채권과 현금을 보유하며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고평가가 되었다는 것은 실적에 비해서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몰려 있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비싸다기보다는 투자자들이 너무 많이 올라와 있고 탐욕 지수도 80점 정도라고 합니다 그렇게 높은 것도 아니고요 실적이 먼저 올라가든 주가가 먼저 올라가든 선후는 별로 상관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증시는 고평가된 상태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마켓워치의 칼럼니스트 마크 헐버트는 s&p 500 지수의 여러 지표가 2022년 초와 유사한 수준에 있으며, 현재 주식 시장이 위험할 정도로 과대평가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주가수익비율(per)과 같은 전통적인 평가 기준을 포함합니다.
워런 버핏이 채권에 투자하기 시작한 것도 이러한 고평가에 대한 경고로 해석됩니다. 그는 22년 만에 처음으로 채권 투자를 단행했으며, 이는 미국 주식시장이 지나치게 비싸졌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주식 시장이 여전히 상승할 가능성이 있지만, 고평가된 상태에서의 추가 상승은 더 큰 위험을 동반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따라서 현재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고평가된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 결정을 내릴 때는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하고, 실적 모멘텀이나 신뢰할 수 있는 기업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조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예 미국주식시장은 상당히 고평가된 상태가 맞습니다.
여러가지 기준에 따르면 고평가이고, 버핏지수였던가 하는 평가지수는 닷컴버블과 비교될정도로 높다는 말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워렌 버핏의 투자의견이 무조건 맞다고는 할 수 없지만, 현시점 미국 증시가 고평가되어 있다는 의견엔 많은 전문가들이 동의할 것입니다.
지금 미국 증시를 매수하시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