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초록할미새190
초록할미새19023.07.05

응급실에 갔을때 하는 피검사 종류가 기본으로 정해져있나요?

나이
6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X
기저질환
X

응급실에 가면 기본적으로 피검사가 진행이 되는데 그때 확인이 가능한 종류가 응급실마다 다른건지 증상에 따라 다른건지 궁금합니다

기본적으로 심근경색 확인을 위한 심장효소검사가 항상 들어가있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응급실마다 검사가 다르기보다는 증상에따라 검사종류가 달라집니다. 내과적 문제가 있는경우는 심근경색 검사가 대부분 포함되나 모든 응급실환자가 심장효소검사를 하는것은 아닙니다.


  • 당연히 증상에 따라서 필요한 검사를 합니다.

    내원하는 환자마다 모두 같은 검사를 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응급실에 오는 환자군이 어느정도 분류가 되어있기 때문에 검사종류도 그렇게 따라갑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응급실에서의 혈액검사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이나 신체진찰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증상이 비슷하다면 혈액검사도 비슷하게 할 수는 있습니다. 협심증을 의심할 상황에서는 당연히 심근효소들을 검사하게 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병원마다 상황이나 병원이 있는 지역, 병원에 오는 환자군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확실하게 어떻다 대답해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