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앞 찌릿?한 통증이 갑자기 생겼어요
갑자기 쭈그려앉을때 앞무릎 안쪽이 찌릿하더니 엉덩이까지 찌릿함이 왔어여 그 이후로 왼쪽다리에 힘싣고 쭈그리면 계속 무릎앞 안쪽이 찌릿해요. 운동 안하고 무리한 활동 없었어요. 갑자기 이러는데 왜그런가요?
유감스럽지만 증상 소견만 놓고 구체적으로 왜 그런 것인지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자세하게 파악하고 감별 및 진단을 내릴 수는 없습니다. 쭈그려 앉으면서 발생한 일시적인 염좌 소견일 가능성이 있으며 보다 심하게 무릎 연골이나 주변 인대 등이 손상을 입었을 가능성도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단순 염좌라면 일시적으로 지나갈 가능성이 높으므로 환부를 쉬어주며 통증 조절을 하고 경과를 지켜보시길 권고드리며, 시간이 지나도 차도가 없는 상황이라면 구체적으로 진료 및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지금으로썬 의심해볼 수 있는 질환은 슬개대퇴통증증후군, 내측 측부인대 손상, 초기 관절염, 연골 손상, 신경 손상 등 여러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로썬 지금과 같은 통증은 가볍게 넘기기보단 병원에 내원하셔서 감별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당분간은 무리하게 움직이거나 자극을 주는것은 피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지금은 냉찜질과 휴식을 취하먄서 경과를 지켜보시고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병원에 내원하셔서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너무 걱정마시고 치료와 관리를 통해 건강히 회복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주변의 신경이 자극을 받거나 무릎 주변 근육의 긴장등에 의해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통증이 지속되어 나타나신다면 병원에 방문을 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설명해주신 증상은 슬개골 주변 신경 압박이나 염증 또는 대퇴사두근과 연관된 신경통일 수 있습니다 특히 엉덩이까지 찌릿함이 있다면 좌골신경 자극 가능성도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발생한 경우 신경 눌림이나 근육 긴장에 의한 증상이 많으니 일시적일 수도 있습니다 며칠간 안정을 취하고도 호전이 없다면 정형외과 또 신경외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습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앞쪽에 갑자기 찌릿한 통증이 발생했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슬개건염이나 혹은 연골의 연화증 또는 무릎 앞 지방 패드의 충돌 또는 반월상연골의손상 혹은 신경 자극증상등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최근에 무릎을 부딪히거나 점프 뛰기 등 무리한 동작을 한 적이 없는지 혹은 통증이 움직일때 더 아프고 불편한지 혹은 붓기 및 열감은 없는지 체크해보시고 일단 휴식 및 안정을 취해주시고 냉찜질 및 소염진통제등을 드셔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통증이 3일 이상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하지 근육의 약화와 관절 주변 안정성이 떨어지며 순간적으로 무릎에 부하를 주며 인대나 반월판연골 등 무릎 관절에 손상을 주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의심해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냉찜질을 해주시고 무릎에 부하를 주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동작이나 움직임은 하시지 마시고 쉬어 주시는 것이 좋으며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신다면 정형외과에서 정확한 진단과 초기에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앞쪽으로 찌릿한느낌이생겼다면 신경압박에의해서 생기는문제이거나 인대, 힘줄의 염증등으로인해서 생기는 ㅁ누제일수있습니다
이럴때에는 집에서관리하기보다는 병원에서 검사와치료를받아보는것이 도움이될수있습니다
가까운 정형외과를 방문해보시고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재민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올려주신 내용 잘 확인 하였습니다. 걱정이 많이 되시겠습니다.
일시적으로 특정 자세를 취하면서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쪽이 자극이 되었던 것일 가능성이 높지만, 이곳에서 정확한 상태 파악 및 감별 진단을 내릴 수는 없겠으니 증상 지속 시 정형외과 내원하여 진료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