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많이사랑스런늑대
많이사랑스런늑대

헌혈 중 전혈, 혈장헌혈, 혈소판헌혈이 뭔가요?

성별
여성
나이대
31

안녕하세요.

헌혈하는 종류 중에 전혈, 혈장헌혈, 혈소판헌혈이 있던데 정의가 무엇인가요?

종류에따라 사용되어지는 곳도 차이가 날꺼같은데 각각 어떤 경우에 사용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전혈 헌혈이 가장 일반적이고 혈소판은 지혈이 잘 안되는분들에게 공급합니다 전혈 헌혈보다 부분헌혈이 덜 부담스럽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전혈은 혈액의 모든 성분을 채혈하는 것이고 혈장 헌혈은 성분채혈기를 이용하여 혈구를 제외한 혈액 성분만 채혈하고 나머지 성분은 헌혈자에게 되돌려주는 방법이며, 혈소판 헌혈은 성분채혈기를 이용하여 혈소판만 채혈하고 나모지 성분은 헌헐자에게 되돌려주는 헌혈 방법 입니다.

  • 전혈은 혈액 전체 성분 그대로.

    혈소판 헌혈은 혈소판 성분만 따로

    혈장헌혈은 혈구성분은 제외하고 혈장성분만 하는겁니다.

    진료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합니다.

  • 전혈 헌혈은 헌혈자의 혈액을 그대로 채취하는 방식으로, 혈액의 모든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장, 혈소판)을 포함합니다. 이 방식으로 채취된 혈액은 필요한 성분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목적에 맞게 사용됩니다. 전혈 헌혈은 수혈이 필요한 환자에게 전체 혈액 성분을 공급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대량 출혈이 있는 환자나 수술 중 혈액 손실이 큰 환자에게 전혈이 사용됩니다.

    혈장 헌혈은 혈액에서 혈장만을 분리하여 채취하는 방식입니다. 혈장은 혈액의 액체 성분으로, 물, 단백질, 전해질, 호르몬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혈장 헌혈 후 나머지 혈액 성분은 헌혈자에게 다시 반환됩니다. 혈장은 응고 장애, 화상, 간 질환 등 특정 치료에 사용됩니다. 또한, 면역글로불린이나 알부민 등의 약제를 만드는 데도 사용됩니다.

    혈소판 헌혈은 혈액에서 혈소판만을 분리하여 채취하는 방식입니다. 혈소판은 혈액 응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출혈을 멈추게 하는 기능을 합니다. 혈소판 헌혈 후 나머지 혈액 성분은 헌혈자에게 다시 반환됩니다. 혈소판은 주로 암 치료를 받는 환자나, 백혈병 환자, 혈소판 감소증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이 환자들은 혈소판 수치가 낮아 출혈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혈소판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전혈은 혈액의 모든 성분을 채취하는 방법으로 수술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혈장은 혈액에서 혈구를 제외한 혈액 성분으로 연구용이나 수혈 시 전혈을 보충하는데 사용되는 편입니다. 혈소판은 상처가 나면 혈액 응고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헌혈의 종류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전혈헌혈은 피의 모든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을 한 번에 채취하는 것으로 한 번에 약 450ml 정도의 피를 채취합니다. 전혈헌혈로 채취된 피는 필요한 성분별로 분리되어 다양한 환자에게 사용되는데, 적혈구, 혈장, 혈소판과 같은 요소로 나누어서 사용되는 편입니다. 혈장헌혈은 혈액의 액체 성분인 혈장만을 채취하는 헌혈 방법입니다. 채취된 혈액에서 혈장을 분리한 후, 나머지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은 헌혈자에게 다시 돌려줍니다. 혈장에는 응고 인자 등의 각종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혈우병 환자나 간 질환 환자, 화상이나 외상환자 등에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혈소판헌혈은 혈액 내의 혈소판만을 채취하는 헌혈 방법입니다. 혈장헌혈과 마찬가지로, 혈소판을 분리한 후 나머지 성분은 헌혈자에게 돌려줍니다. 항암 치료중인 환자는 혈소판 감소증이 흔히 발생하여 자주 헌혈하는 편이고, 심한 출혈이나 외상환자에게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헌혈에는 전혈헌혈, 혈장헌혈, 혈소판헌혈 세 가지 주요 방식이 있습니다.

    전혈헌혈은 혈액의 모든 성분을 헌혈하는 방식으로, 주로 대량 출혈이나 수술 후 수혈이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이 과정에서 헌혈된 혈액은 다양한 혈액 제제로 분리되어 여러 환자에게 도움을 줍니다.

    혈장헌혈은 혈액에서 혈장만을 분리하여 헌혈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면역 질환 치료, 응고 인자 제제 생산, 그리고 자가면역 질환 및 중증 감염증 치료에 사용됩니다.

    혈소판헌혈은 혈액에서 혈소판만을 분리하여 헌혈하는 방식으로, 주로 암 치료 환자, 골수 이식 환자, 그리고 출혈 질환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 전혈헌혈은 혈액 전체를 채혈하는 것으로, 수술이나 출혈 등으로 많은 양의 혈액이 필요한 환자에게 수혈됩니다. 혈장헌혈은 혈장만 채혈하고 혈구성분은 다시 헌혈자에게 돌려주는 방식으로, 혈우병 등 혈액응고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혈소판헌혈은 혈소판만 채집하는 것으로, 항암치료나 장기이식으로 인한 혈소판 감소 환자에게 수혈됩니다.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조언으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렇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면 앞으로도 이런 건강 상담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전혈헌혈: 혈액의 모든 성분을 채혈하는 것으로 320ml, 400ml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

    -> 보통 대량출혈같은 응급상황에서 이루어지며

    • 성분헌혈: 성분채혈기를 이용하여 혈소판, 혈장 등의 성분을 채혈하고 나머지 성분은 돌려주는 헌혈입니다.

      혈소판 성분헌혈은 250ml, 혈장성분헌혈은 500ml, 혈소판혈장성분헌혈은 혈소판과 혈장 성분을 채혈합니다.

    ->혈액 응고 장애나, 혈소판이 부족하거나 특정 인자가 부족할때 수혈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