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정말평온한푸들
정말평온한푸들

순살 아파트라고 하는데, 언제 기준으로 세워진 아파트가 순살인가요?

코로나 시기를 겪으면서 철근 가격이 올라 그 시기에 지어진 아파트는 '순살 아파트'라고 불린다고 하는데요. 왠지 붕괴될 것같고 안전하지 않을 것 같아 불안합니다. 이사를 계획하면서 그 시기에 지어진 아파트를 빼려고 하는데요 어느 시기인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명 "순살 아파트"라 불리는 철근 누락 사태가 19년 ~ 23년도 사이에 있었습니다.

    2023년 이후 착공은 안전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투자하실 때 이 시기에 지어진 아파트는 신중하게 접근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시기별에 따라 모두 순살아파트가 아니며, 해당 시기를 피한다고 순살아파트가 무조건 아니라고도 할수는 없습니다. 질문처럼 코로나 이후에 지어진 아파트들의 경우 숙련된 기술자가 부족하고, 외국인 근로자가 건설현장에 많아지면서 하자보수가 많이잔것은 맞지만 단순히 철근가격이 많이 오른 시기에 지어졌다고 다 그런것은 아닙니다. 정부에서는 2017~2023년까지 착공된 아파트중 순살아파트 리스트를 만들었으니 이를 참고하시면 될듯 보이나, 해당 리스트에는 lh가 발주한 아파트중 무량판 구조인 91개단지를 대상으로 하므로 사실상 모든 아파트 전수조사가 된 자료가 아니므로 리스트에 없다고 해서 무조건 아니라고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순살 아파트는 코로나시기에 지어져서 1~2년전에 입주해서 지금까지 입주하고 있는 아파트들이 많이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발견을 한다고 해도 특별한 대책이 없어서 입주자들이 많이 불안해 하고 있습니다

    년도를 잘봐가면 선택하시면 되는데 다그렇지는 않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순살 아파트라는 표현은 철근 가격 상승으로 인해 철근 사용량을 줄인 아파트를 비유적으로 부르는 말입니다.

    코로나 시기 동안 건설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일부 건설사들이 철근 사용량을 줄였거나 품질이 낮은 자재를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이는 구조적 안전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주요 시기로는 철근 가격이 급등했던 시기는 대략 2017년부터 2023년까지이고, 코로나19 팬데믹과 함께 국제 원자재 가격이 폭등한 시기입니다.

    특히 2017년 ~ 2023년 착공된 아파트의 경우 순살아파트의 리스트를 확인을 하셔야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