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지금 트럼프의 행보가 1기때와 비슷한가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에도 관세 얘기가 많았던 것 같은데요.

지금과 그때 상황이 비슷했나요?

만약 비슷 했다면 언제쯤 경기가 좀 괜찮아질지 예상이 될 것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1기때와 비슷하면서도 더 빠르게 관세를 때리고 있습니다

    • 통상 허니문 기간 때는 내부 경제를 챙기지만 대통령이 되자마자 중국과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충격적인 정책을 펼치면서 세계를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여전히 트럼프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1기와 2기의 관세 정책은 유사하지만, 경제 상황이 판이하게 다릅니다. 1기 때는 미중 무역 전쟁을 일으켰고, 2기에도 모든 국가에 10%, 중국에는 60% 관세를 예고하며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고 있죠.

    1기 때는 미국 경제가 회복세였고, 물가도 안정적이어서 관세의 부정적 영향이 제한적이었지만, 지금은 고물가·고금리에 성장 둔화까지 겹쳐 상황이 심각합니다. 이미 2025년 1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고, 경기 침체 가능성이 60%까지 거론되고 있죠.

    2분기 이후 관세 효과가 본격화되면 성장률은 더 떨어지고, 침체 압력은 커질 겁니다. 주요 투자은행들은 올해 하반기까지 성장률이 1%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중간선거를 의식해서 관세 정책을 일부 완화하거나, 협상에 속도를 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시장 불안이 커지면 관세 조정 카드를 꺼낼 수도 있죠.

    결론적으로, 2기에는 1기 때와 달리 경기 침체 국면이 길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회복 시점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 변화, 연준의 금리 인하, 글로벌 경기 회복 등 여러 변수에 따라 달라질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현재 행보는 1기 때처럼 보호무역과 자국 우선주의 기조를 다시 강조하는 점에서 유사합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 압박, 관세 재도입 가능성 등은 과거와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글로벌 경제 환경과 연준의 통화정책 상황이 달라 회복 시점은 당시보다 더 불확실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1기때와 마찬가지로 보호무역주의와 미국우선주의 정책 기조는 똑같습니다. 중국과도 무역분쟁은 같은 맥락이었죠.

    다만 이번 2기부터는 더욱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현재는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1기때와 달리 세계 경제가 상당히 좋지 못한 상황이며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마 현재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협상이 잘 이루어진다면 경기회복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시점은 좀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1기 때에도 중국이랑 관세전쟁 양상을 보이면서 한 반년정도 고생을 했던걸로 기억이 납니다

    그 당시 중국이랑 2017년 하반기에 관세전쟁 양상을 보였지만 2018년 초에는 다 마무리되고 증시도 관세전쟁 전보다 더 올랐던 기억이 나거든요 그러니 이번에도 반년정도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은 트럼프 1기 때와 성향은 비슷하지만, 그 진척 정도나 발언의 수위가 더 쎈 것으로 보입니다. 가령 주변 동맹국을 생각하지 않고 하는 발언 등은 유사하나, 그 발언의 파급력은 1기보다 더 강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동맹국과의 관계가 약해지고, 견제를 해야하는 주변국에 보다 힘을 실어주는 영향을 미치고 있어, 주변국들의 부담이나 나아가 미국의 대외입지가 약해지는 등의 영향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 주된 예시는 관세와 관련된 무역이나, 우르라이나-러시아 전쟁 등을 주요한 예시로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트럼프의 행보가 1기 때와 비슷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금의 행보는 1기 때와 비교하더라도

    보다 더 불확실한 모습을 많이 보여지고 있습니다.

    얼른 관세 문제가 해결 혹은 해소가 되어서

    경기가 안정화되고 나아지기를 기다려 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1기 때도 미국우선주의, 보호무역주의, 이민정책 강화 등 비슷한 행보를 보였습니다. 다만,현재처럼 급진적인 정책을 추진하지 않았다는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에도 관세 정책에 관한 부분은 지금과 유사했으나, 당시엔 여러 반대의견으로 인해 이렇게 급진적으로 실행하진 못했습니다. 경기가 좋아지기엔 아직 트럼프의 정책 방향이 변경될 가능성이 낮아서 최소한 하반기까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