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투자로 돈을 넣는 비율이 궁금해요?
주식이든 코인이든 적금이든 교육이든 다들 갖고 있는 돈의 일정부분 넣을텐데요.
다른사람들은 어느정도를 넣고 하는지 적정선이 어느정도일지가 궁금하더라고요.
한달 임금 의 어느정도까지가 적정선일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통상적으로는 월 소득의 10퍼센트에서 20퍼센트 정도를 투자로 돌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생활비와 비상금이 먼저 확보돼야 하고 남는 돈을 굴리는 게 안정적이라는 얘기죠. 누군가는 반쯤 넣기도 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그냥 소액으로만 경험 삼아 하기도 합니다. 중요한 건 적정선이라기보다는 본인 생활이 흔들리지 않는 선을 찾는 거라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투자에 돈 넣는 비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람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거의 투자를 하지 않는 이들도 있고
적으면 10퍼센트 내외
많으면 70퍼센트까지 투자를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흔히 일반적으로 많이 하는 법칙이 50-30-20법칙입니다 요샌 많은 일반인들도 이런 법칙에 관심이 많고 따라하고 있습니다
이는 필수생활비는 50%정도 그리고 30%는 여가나 외식 쇼핑등 변동성이 있는 선택적지출로 쓰고 20%를 저축이나 투자재원으로 쓰는것입니다. 다만 이 20%는 최소의 저축비중이며 향후의 필수생활비나 선택적지출을 치대한 줄여서 20%였던 투자비중을 향후 50%이상까지 올리는것을 목표로 많이들 실행중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가장 중요한건 항상 비상금확보를 먼저하라고 하는데 월생활비의 3~6개월분은 미리 별도의 CMA와 같은 파킹통장에 넣어두어서 항상 비상금확보는 하셔서 예상치 못한 지출에 방어하셔서 위의 비중을 지키시는게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의 투자 비율은 개인의 소득, 나이, 위험 감수 성향, 그리고 재무 목표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라고 할 수 있는 정해진 비율은 없습니다.
가장 많이 언급되는 투자 원칙은 월급을 세 부분으로 나누는 것입니다.
저축/투자: 미래를 위한 자금을 모으는 부분
고정지출: 월세, 대출상환, 통신비 등 매달 나가는 비용
변동 지출: 식비, 교통비, 여가비 등 매달 변하는 비용
이 세가지 항목에 대해 월급을 5:3:2, 5:4:1, 6:4 등 다양한 비율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적정선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월급의 50%이상을 저축/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중에서 투자(주식, 코인 등)에 할당하는 비율은 자신의 나이와 위험 감수 성향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사람마다 다를 수 밖에는 없지만
월 급여의 50% 정도를 저축이나 투자한다면 굉장히 잘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50%를 기준으로 두고 본인의 생활 여건에 따라 일부 상향하거나, 하향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