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과 인대가 늘어난 것은 어떤 차이가 있는걸까요?
흔히 뼈와 관련된 부분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면
골절이나 인대 손상을 의심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골절과 인대가 늘어난 것은 어떤 차이가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
인체를 건축에 비유하면 뼈는 철근이라고 보시면 되시고, 인대는 철근과 철근을 연결하는 구조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뼈와 뼈를 연결하는 구조물이 인대이기 때문에 수주내로 좋아질 수 있지만, 골절의 경우는 수개월이 걸립니다. 또한 붙을 때 구조가 맞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정복하고 깁스까지 추가로 합니다.
둘다 통증과 붓기를 동반 하지만, 골절이 더 오래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골절은 뼈가 부러진 것을 뜻하기 때문에 골절 된 부위가 붓고 통증이
심하며 해당 부위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골절 된 뼈가 어긋나기 시작합니다.
이는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수 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아플 수 있어 치료를
필요로 하며 인대 염좌는 단순 염증인 경우가 많아 부종, 통증이 있지만
냉찜질과 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 수주일 이내에 호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골절은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간 상태이고 인대 손상은 뼈와 뼈를 연결하는 인대가 늘어나거나 찢어진 것입니다.
골절은 뼈문제, 인대손상은 연부조직 문제로 부위와 치료 방식이 다릅니다. 골절은 고정과 뼈 회복이 중요하고 인대 손상은 안정과 재활 운동이 중요합니다.
둘 다 통증과 부기가 있지만 골절은 국소적 압통, 인대 손상은 움직일 때 통증이 더 뚜렷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골절과 인대손상의경우 붓기와 통증이생기는건같지만 치료기간과 치료과정에서 차이점이생길수있는데요 골절이심한경우 수술을통해 뼈를 제위치로 맞추고 고정하는것이 필요하지만 인대손상의경우 보강조직을 덧대서 수술하는게 필요할수있습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샇바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보통 골절과 인대 손상은 비슷한 증상(극심한 통증, 열감, 붓기, 멍, 움직임 제한 등)이 많아 오인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보통 감별 진단을 위해선 초음파 검사, 엑스레이 검사 등 여러 객관적인 검사를 통해 감별진단이 필요합니다.
골절과 인대 손상의 차이로는 골절은 외형적으로도 손상이 보이며 신경 손상을 유발해서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순 있습니다.
다만 검사가 아닌 골절과 인대 손상의 차이는 감별하긴 제한이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골절(Fracture)은 말 그대로 뼈가 부러진 것이죠.
인대(Ligament)는 뼈와 뼈를 연결해주는 구조물입니다.
반면에 건(Tendon) ex: 아킬레스건 은 뼈와 근육을 연결해주는 구조물이죠.
인대가 늘어났다는 것은 뼈와 뼈 사이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보조해주지 못하는 상황이며, 인대의 손상, 염좌 양상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늘어난 상태라면 약간 붓는 양상과 통증이 있겠지만, 인대 손상, 파열이 있다면 뼈와 뼈 연결이 온전치 않으니 관절 등의 불안정성이 발생하겠지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골절은 말 그대로 뼈가 부러진거고 부러진 부위에 닿이면 통증이 극심하기 때문에 움직이기 힘들어지고, 붓기, 멍이 심하게 생깁니다.
인대의 경우는 늘어난 1도, 부분파열 2도, 완전 파열 3도로 나뉘는데 1도는 가벼운 통증만 생길 수 있으며 2도, 3도로 갈수록 증상이 골절과 비슷할 수 있어 X-ray를 찍어봐야 골절과 구분이 가능한 경우들이 생기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골절은 말그대로 뼈가 부러진 상태로, 외상이나 부상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염증으로 인힌 붓기와 열감 및 통증과 관절의 움직임이 불가능 하거나 제한되는 상태입니다.
인대손상은 흔히 삐었다는 표현을 많이 하는데요, 뼈와 뼈를 연결하는 구조물에 손상이 가해지는 경우로 통증이 동반되기는 하지만 움직임은 어느정도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