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최근 항공사 운임 동향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무역기업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을까요?

연료비, 수요 및 공급 상황, 환율 변화에 따라 항공 운임이 급변하면서 긴급 운송 또는 고부가가치 물품의 운송비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항공운임의 변동 원인과 무역계약 조건 변경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항공운임은 연료비 상승이나 항공기 공급 부족, 특정 노선 수요 집중 등에 따라 예고 없이 크게 오를 수 있습니다. 특히 환율까지 변동되면 최종 비용 부담이 예상보다 커질 수 있어, 무역계약에서는 운임 변동에 따른 비용 분담 기준을 명확히 정해두는 게 중요합니다.

    cif 조건처럼 운임을 포함한 거래라면 선적일 기준 운임 반영 방식이나, 일정 수준 이상 변동 시 재협상 조항을 넣는 방법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 항공운송은 고부가가치 제품등에 사용 되고 운임 변동이 물류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고운임 운송입니다. 이때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한 연료비 부담이 커지고 유류할증료로 항공 운임에 직접 반영되어 수출입 비용을 증가하게 합니다.

    계약시 가격 조건을 고려하여 운임 리스크를 어느 쪽이 부담할지를 명확히 해야 하며, 특히 운송비를 수출자가 부담하는 CFR 조건보다는 FOB나 EXW 조건처럼 수입자가 운임을 책임지는 방식이 리스크 분산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