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특출난왜가리83
특출난왜가리83

아이들이 길에서 누워서 떼쓰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들이 길에 드러누워서 떼쓰는 행위는 어떻게 고쳐야하는걸까요?

이야기를 다 들어줄 수 없다고 생각하고, 그렇다고 내버려둘 수 없어서 어떻게 고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떼쓰는 아이에게 부모가 감정적으로 대처하거나 겁을 주는 방법은 잠시 행동이 교정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길게 봤을때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우선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시고 그래도 떼쓰기를 멈추지 않을 시에는 여기가 공공장소이고 아이의 행동이 옳지 않다는 것을 이야기 해주세요. 그땐 일관성 있고 단호하게 이야기 해주셔야 합니다.

      그런 다음은 계속 이렇게 떼쓰면 엄마가 억지로 안고 집에 갈거라고 이야기해 주세요. 이렇게 해도 쉽게 아이의 행동이 바뀌진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훈육은 몇십 번 반복해야 합니다. 단호하고 일관성있게 훈육하다보면 아이의 떼쓰는 행동이 좋아질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교정을 위해 누워서 떼를쓰는 행동 발생시에 지속적으로 적절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이런 행동을 했을 때 분명한 태도로 혼을 내셔야 합니다.

      밖에서 떼를 쓴다고 다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아이가 인지하여야만이

      앞으로도 그러지 않습니다.

      확실하게 훈육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드러누워야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는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아이의 안전을 위해 길에서 드러 눕는 행동을 하면 바로 단호하게 훈육을 해야 합니다.

      아이가 드러눕기 전에 먼저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해주면 횟수가 줄어들 거라 생각해요

      그리고 아이의 화난 원인을 파악한 후 그 후에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서운했거나 속상한 아이의 마음에 엄마가 동감을 해주면 아이는 울음을 터뜨리는 경우가 많아요..어른도 힘들 때 내 편이 되어주면 기분이 풀어지듯 아이의 마음도 그럴겁니다

      울음은 마음속 응어리를 풀어주고 공격성을 줄여주니 꼭 아이의 마음을 달래주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이미 그러한 행동을 하면 엄마아빠가 자신의 요구를 들어준다는 것을 알고 있기때문에 그러한 행동읗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는 것이 좋습니자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위험한 행동은 바로 제지를 하셔야 합니다.

      아이가 원하는 게 있으면 떼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땐 모른 체 해야 합니다.

      만약 아이의 요구 사항을 들어주면 아이는 원하는 게 있을 때마다 더 큰 떼를 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물론 아이의 요구를 다 들어주실 수 없급니다

      아이가 그렇게 행동할때마다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길에서 떼를 쓰는 행동은 아이에게도 굉장히 위험한 행동입니다.

      그 자리에서 아이에게 무슨 말을 하려고 하지마시고 아이를 재빠르게 안아서 데리고 나오셔야합니다.

      집이 가까우면 그대로 집으로 데리고 오거나, 아니면 최대한 사람이 적은 장소로 이동합니다.

      그 장소에서 아이를 내려놓고 아이가 울거나하면 울음이 그칠때까지 계속 기다려주세요.

      그칠 때쯤 평소와는 전혀 다른 어조와 톤으로 매우 단호하게 훈육하셔야합니다


      여기서 아이를 달래거나 하는 톤으로 바뀌면 아이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위와같이 떼를쓰는데 상황이 여이치 않을때는 그냥 집으로 돌아오는것이 좋습니다

      무언가 목적을 가지고 외출하였더라도 아이가 계속해서 조절이 안될때는 이러한것을 하지 않고 복귀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이후 집에서 이러한 뗴르 쓰거나 하는것을 그냥 놓아두면서 아이가 진정되기를 기다리는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