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를 해부학적으로 나눌 때 외이, 중이, 내이로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귀를 해부학적으로 3가지로 나눌 때 외이, 중이, 내이로 나누는 데 그 기준은 무엇으로 잡나요?
각각의 부분의 역할들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외이는 귓바퀴부터 고막까지를 말하고,
중이는 고막부터 달팽이관직전까지의 공간을,
내이는 달팽이관이 있는 부분입니다.
외이의 경우 귓바퀴에서 소리를 모으고, 외이도를 통해 고막까지 진동을 전달합니다.
중이는 고막에 전달된 진동을 이소골을 통해 증폭하여 내이까지 전달합니다.
중이에는 내이를 보호하는 이내근이 있고, 중이의 압력을 조절하고 분비물을 배출하는 유스타키오관이 있습니다.
내이에는 전정기관, 세반고리관, 달팽이관이 있으며 전정기관과 반고리관은 평형감각에 관여하고 달팽이관은 외이 중이를 거쳐 전달된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신경세포를 통해 뇌로 전달합니다.
안녕하세요.
'귀'는 오감 중 하나인 청각을 받아들여 소리를 듣는 기관으로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됩니다. 외이는 소리를 고막까지 전달하는 부분이고, 중이는 고막에서 내이 사이의 공간으로 고막의 진동을 달팽이관까지 전달해주는 부분을 말합니다. 내이는 소리를 직접 느끼는 달팽이관이 있는 부분을 말합니다. 귀의 구조는 크게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되는데요, 외이는 귓바퀴와 외이도가 포함됩니다. 귓바퀴는 연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리를 모으는 기능을 하며, 외이도는 귓바퀴에서 고막까지 이르는 길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며 S자 모양으로 공명기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음으로 중이는 고막, 이소골, 고실, 이내근, 이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이도를 통해 들어온 진동을 고막과 이소골을 통해 내이에 전달합니다. 고막은 중이를 보호하는 방어벽이며 음의 전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소골은 3개의 작은 뼈인 추골, 침골, 등골이 포함되며, 이들은 고막에 도착한 진동을 내이의 난원창으로 전달합니다. 고실은 외이와 내이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로 가득찬 공기강으로 중이강이라고도 부르며, 이내근은 고실반사를 통해 내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관은 유스타키오관이라고 하며, 중이의 환기와 분비물을 배출해줍니다. 다음으로 내이는 전정기관, 세반고리관, 달팽이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내이는 액체로 가득 차 있으며 형태와 구조가 복잡하여 미로로 불리웁니다. 내이는 소리를 감지하고 몸의 평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달팽이관은 중이에서 전달된 음파를 신경 흥분으로 전환하여 소리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며, 전정기관은 평형감각을 감지하고 수용하는 역할을, 반고리관은 평형감각을 감지하고 수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1. 외이:
- 구성: 귓바퀴와 고막이 포함됩니다.
- 역할: 소리를 모으고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외이도에서 소리가 고막에 전달되어 진동을 일으킵니다.
2. 중이:
- 구성: 고막 뒤쪽의 공간과 세 개의 작은 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역할: 고막의 진동을 증폭하여 내이로 전달합니다. 또한, 중이관을 통해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도 합니다.
3. 내이:
- 구성: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역할: 소리의 변화를 감지하고 신경 신호로 변환하여 뇌로 전달합니다. 또한, 균형 감지 기능도 수행합니다.
귀는 소리를 감지하고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감각 기관입니다.
그리고 해부학적으로 나눌 때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하는데, 각 부분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 나뉩니다.
외이는 다시 귓바퀴와 외이도로 구성됩니다. 귓바퀴는 소리를 모으는 역할을 하고, 외이도는 소리를 고막까지 전달하는 통로입니다. 주로 소리를 모아 증폭시켜 중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이는 고막,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 유스타키오관 등으로 구성됩니다. 고막은 외이와 중이를 나누는 얇은 막이며, 세 개의 작은 뼈는 소리 진동을 증폭시켜 내이로 전달합니다. 유스타키오관은 중이와 인두를 연결하여 중이 내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이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고막의 진동을 증폭시켜 내이의 달팽이관으로 전달하는 역할입니다.
내이는 달팽이관과 반고리관으로 구성됩니다. 달팽이관은 소리 정보를 신경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반고리관은 균형 감각을 담당합니다. 주된 기능은 소리 정보를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하고, 균형 감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시 각 부분의 구분 기준을 요약하면...
외이는 소리를 모으고 전달하는 부분으로, 주로 연골과 피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이는 공기로 채워진 공간으로, 고막의 진동을 증폭시켜 내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내이는 뼈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소리 정보를 신경 신호로 변환하고 균형 감각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외이, 중이, 내이는 각각의 고유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에 따라 구분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귀를 외이 ,중이 ,내이로 나누는 기준은 구조적 차이인데요
외이는 소리를 모으고
중이는 소리를 증폭
내이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줘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외이는 소리 및 청각자극이 가장 먼저 유입되는 공간으로, 별다른 기능적 장기 없이 예비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중이나 내이로 진입할 수 있는 위해요소를 사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중이는 고막이 위치하여, 외부에서 받아온 청각신호를 우리의 청각세포가 잘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내이에는 이 소리자극을 직접 생체 전기신호로 인지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장치기관인 달팽이관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외이는 "귓바퀴" 그리고 "외이도"로 구성되어 있고 중이의 경우 "고막", "이소골", "이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중이는 공간이 공기로 차 있습니다. 내이는 달팽이 모양의 와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귀를 외이, 중이, 내이로 나누는 기준은 소리의 전달 경로에 따라 나눕니다. 외이는 소리가 처음 귀에 들어오는 부분으로, 귓바퀴와 외이도가 포함되며 소리를 수집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이는 고막부터 시작하여 소리를 증폭하고 이소골을 통해 진동을 내이로 전달합니다. 내이는 달팽이관과 반고리관이 포함되며,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청각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