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 안전자산들이 급등하는데 지금은 불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나스닥과 금이 동시에 급등하고 있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건가요?
보통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게 되면
안전자산들이 급등을 하고
불안전자산들은 급락을 하는 경향이 있는데
최근 금값이 급등하고 있음에도
불안전 자산으로 여겨지는 미국 주식의 가격 역시 동시에 급등을 한 상태입니다
일반적으로 불안전 자산과 안전자산이 같은 방향으로 가는 경우는 잘 없는 것 같은데
이번에는 왜 나스닥도, 금도 동시에 상승하게 된 것인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가 불안하면 금 같은 안전자산만 오르고 주식은 떨어지는 게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요즘처럼 나스닥이랑 금이 동시에 오르는 현상을 '에브리씽 랠리'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여러 복합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금은 지정학적 불안정, 돈의 가치 하락 우려 때문에 안전자산으로서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어 오르고 있습니다.
나스닥 기술주들은 AI 혁신처럼 산업을 이끄는 압도적인 기술 성장과 함께, 강력한 실적과 재무 건전성을 바탕으로 불안정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성장 동력을 찾는 투자 자금들이 몰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재 모든 자산이 오르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경제 불확실성, 그러면서 동시에 현금이 계속 시중에 유입되는 등의
이유 등으로 이른바 에브리씽 랠리 (모든 자산이 오르는)
현상이 보여지고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작년부터 지속되어 왔습니다
특히 금과 나스닥의 동시 랠리는 경제학적으로 설명이 잘 안되는 부분입니다.
그러나 이를 설명할 때 금리를 내리면서 유동성이 확대 되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은 대투자의 시대인 상황으로 보입니다. 이미 월가에서도 통화의 타락이라는 리포트를 내놓았으며 즉 전세계의 통화자체가 빠르게 신뢰성이 하락하고 보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선진국 모두가 재정확대정책을 공통적으로 세우고 있고 이는 지금 앞으로도 지속되는 환경이며 각 주요 국가들이 빠르게 재정적자가 확대가 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면서 통화유동성이 매월 최고 증가량을 경신하면서 이런 유동성과 통화가치의 신뢰성이 하락하면서 통화와 대척되는 자산 모두가 가격이 상승하는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는것입니다.
그러다보니 금이나 위험자산인 주식이나 비트코인 등 모두가 상승하는 사이클로 이어져왔고 이런 모습은 과거 유동성이 급격하게 풀리는시기에도 공통적으로 나왔던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금은 불안기, 주식은 호황기에 오르지만 이번엔 유동성 확대가 공통 상승을 유도 했습니다.
AI, 테크 중심 기대감이 주식시장을 밀어올리고 동시에 불안심리가 금 수요를 키우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은 안전자산으로 그만큼 높은 수익성은 없지만 공굽이 일정해서 적은 수익률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다망 지금은 수요가 많다보니 생각보다 수익성높으며, 나스닥도 실적을 바탕으로 한 기업들의 주가상승으로 인해 상대적 안전자산으로 평가가 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은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서, 지정학적 리스크, 인플레이션 우려, 달러 가치 하락, 정부 부채 증가 등 시스템적인 불확실성이 커질 때 화폐 가치 하락을 헤지하는 수단으로 수요가 증가합니다. 최근에는 각국 중앙은행들의 금 보유량 확대도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성장에 대한 기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강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같은 혁신 기술 분야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강한 낙관론이 시장을 견인하며,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기술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우세한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