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임 도구 사용법은 몇살부터 알려주는게 좋을까요?
아이도, 어느정도 자신의 몸에 대해서 방어하고, 기초적인 지식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생각하는데, 실제로 피임기구에 대해서는 언제 알려주는게 교육적으로 필요한건가요?
아이들에게 피임법을 가르치는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중학생 시기에는 성관계와 피임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이때부터 콘돔, 경구피임약 등 기본적인 피임법을 설명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책임감과 신중함을 함께 강조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피임 도구는 아이가 사춘기 시기에 접어들면 알려주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
그 이전 즉, 유.아동 시기에는 매일 꾸준히 성교육을 해주면서 내 몸을 소중히 여기고, 타인의 몸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교육 시켜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피임도구에 대한 교육은 보통 초등 고학년~중학생 시기에 시작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성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고, 2차 성징이 시작되는 시점에 맞춰 자기 몸 보호와 책임있는 행동을 함꼐 교육해야 효과적입니다. 피임기구는 성관계 예방 목적 뿐 아니라 성병 예방, 임신예방 등 현실적인 문제와 연결되므로 단순 지식이 아닌 안전과 존중의 관점에서 알려주는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성장발달에 맞게 성교육을 해왔다면 자연스럽게 피임에 중요성과 피임도구 사용법에 대한 교육이 잘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의 성장발달과 성에 대한 호기심 등 여러 사회적 환경에 따라 시기도 달라지고 있습니다. 보통은 초등학교 고학년(11살~13살) 정도면 신체적으로 변화로 생리를 시작하고 정자와 난자로 인해 임신이 되는 원리를 교육받으며 자연스럽게 피임에 대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접근한 시기 이후 사춘기가 극에 달하는 중학생(14살 이상) 이후 성적호기심으로 친구나 인터넷을 통해 접할 가능성이 많고 이성을 사귀는 경우가 많아 피임도구의 종류와 사용목적에 대해 설명해주고 성병 예방에 대해 꼭 필요하다는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어 교육을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