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보험 월보수총액 신고 적정금액.
4대보험 신고시 월보수총액을 적는데
이와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2025예산은 2025년으로 쓰고
2026으로이월되는게 아니라
환급되거나 반납되거나 하는거 없이 신고하고싶은데
환급된다해도 다른 내역으로 들어가서 못사용
반납하면 2026예산서 사용해서 2026 월급예산이 부족할 위험
입니다.
보수 액은 매월 조금씩 날수에따라 달라지는데 이걸 어느정도로 예측해야하나 매년 곤란하더라구요.
재작년에는 너무낮아서 2024년 예산을 써버렸고
올해는 높였더니 2025예산이 거의 부족할뻔하고
4대보험이 도무지 예측이 안되니 임금예산 짜는게 너무 힘드네요.
월보수총액 예상금은 어디다 맞춰야하는걸까요?ㅠ
안녕하세요. 김범철 노무사입니다.
보험료 환급금이 없으려면 "해당 근로자의 연간 실수령액(비과세 제외) = 보험료보수월액 × 12월"이 성립해야 합니다. 따라서 예산을 최대한 정확하게 책정하려면 취득신고시부터 보험료 보수월액을 최대한 정밀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연장근로 등 예측할 수 없는 급여가 발생하게 되므로 완전히 정확한 예측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월보수총액은 일반적으로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을 기준으로 합니다. 변동이 많지 않다면 매월 확정적인 금액으로 하시면 될 듯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과거에 보수월액으로 신고한 금액과 정산금액을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어느정도 차이가 나는지를 평균하여
이를 반영하여 보수월액을 조금 높게 잡으셔서 정산금액을 줄이는 방향으로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