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슬기로운물소220
슬기로운물소220

병원에서 피를 뽑는데 팔에 혈관 못차는 이유가 뭔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2
기저질환
통풍
복용중인 약
통풍약

오늘 병원가서 피검사를 해야해서 피뽑는곳에 가서 피를 뽑으려고 했는데 팔에 혈관을 못찾아서 여기저기 바늘을 꽂다가

7번만에 뽑았습니다

예전에도 비슷한 경험이 있는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걸까요?

참고로 180/70 이여서 마른편이라 잘 찾을거 같은데 말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혈관이 얇아서 쉽게 터지는 분들이 계십니다.

    키와 몸무게 고려했을때 혈관이 잘 보일것이라 생각되나, 질문자분이 보기에도 본인의 혈관이 잘 보이는지요.

    혈관 자체가 쉽게 터지는 양상을 가지고 있거나, 살 안쪽 깊숙히 위치해 있을때 혈관에서 혈액을 뽑느것은 쉽지 않을 순 있어요.

    물론, 채혈자가 능숙하지 못했을수도 있겠지만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선천적으로 피하에 혈관이 깊숙하게 위치해있거나 반복적인 채혈 경험이 있으시다면 혈관 주변 조직이 딱딱해져 있어 바늘이 들어가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혹은 신체 수분이 부족한 경우나 긴장을 하는 경우, 채혈자의 숙련도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채혈에 어려움을 겪으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사람마다 혈관이 얇은사람이나 잘안보이는사람이있을수있는데요 체중과 키와는상관없이 체질에따라서 결정되는거기때문에 달라질수있습니다~

    수혈을할때에는 경험이 많이있는 분들에게 받는걸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혈관을 찾기 어려운 이유는 혈고나이 얇거나 깊이 위치해 있거나 움직이기 쉬운 타입이기 때문입니다. 마른 체형이어도 혈관이 피하 지방 보다 깊거나 탄력이 약하면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 날씨가 춥거나 긴장 상태에서도 혈관이 수축돼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음엔 손을 따뜻하게 하거나 물을 마시고 긴장을 풀면 혈관이 더 잘 드러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채혈 시 혈관의 깊이 위치나 혈관의 수축으로 인하여 채혈의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으며 채혈 하는 임상병리사나 간호사의 스킬의 문제 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혈관의 위치가 피부층과 가까우면 채혈하긴 쉽지만 지방층 또는 근육층 밑에 자리를 하게된다면 혈관을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몸의 수분이 부족하면 혈관이 수축하면서 잘 안보일수있기에 채혈을 하기 전 충분한 수분섭취를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채혈하는 의료진에 경험이 부족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

    다음 채혈땐 미리 의료진께 혈관 찾기 힘들어하셨다고 내용 전달과 충분한 수분섭취, 채혈 전 주먹 쥐었다 폈다 반복하면서 혈관 세우기 등 해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마른 체형이라고 해서 혈관이 더 잘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채혈이나 혈관 주사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굵기를 가진 혈관이 필요한데 표면적으로 눈에 잘 보이는 혈관은 내강이 작고 얇아 부적절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탈수가 있거나 신체 컨디션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평소에 혈관이 좋았던 사람에서도 혈관 찾기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특별히 검사 전 물의 섭취를 피하도록 설명을 듣지 않았다면 채혈 전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