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산야촌부100
산야촌부100

수액과 닝게르의 차이점이 뭔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55

안녕하세요.


요즘 감기가 심해서 약을 먹어도 몇날며칠 낫지 않아서 닝게르 한번 맞을가 하는데요.

닝게르와 수액이 같은 건가요?

차이가 있다면 차이점은 뭔가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경욱 의사입니다.

      19세기 영국의사인 링거가 수액을 처음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링거가 수액의 대명사가 되었지요.


      링거를 일본인들이 발음하지 못해 링게루로 되었고

      한국에 닝겔 닝게루 등으로 전파된 것입니다.


      수액과 링거는 같은 단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닝게르라고 부르는 것은 링거에서 나온 말이고, 링거는 수액의 한 종류입니다. 결론적으로 둘 다 수액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수액의 종류중에 링거액이라는게 있습니다.

      이게 발음이 변하면서 닝게루라고 어른들이 부르기도 합니다.

    • 닝게르는 링겔(링거)를 이야기 하시는 것 같습니다. 링거는 수액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수액은 체액과 유사하게 만든 액체인데 종류에 따라서 포도당이 들어가 있을 수도 있는 등 사소한 차이들이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링거는 19세기 영국의 의사 시드니 링거(Sydney Ringer)에 의해서 발명된 치료용 수액이나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종류의 수액을 지칭할 때 통상 링거로 부르는 편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링겔은 정맥을 통해 특정한 액상의 약을 주입하는 것입니다.


      주입하는 약의 종류에 따라 항생제, 해열제, 영양제 등을 투입할 수 있지만 수액을 투입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수액은 일반적으로 생리식염수입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수액은 수분에 전해질이 포함되어있는 모든 용액들을 포함하는 용어입니다.

      물 수자를 쓴거죠.

      닝게르라고 표현하신건 ringer's solution이라고 해서 아주 예전에 사용하던 수액의 한 종류인데 워낙 많이 사용하던 수액이다 보니 이게 대표명사처럼 되어버린겁니다. 휴대폰을 휴대폰이라고 부르지 않고 갤럭시, 아이폰 이렇게 표현하는 상황이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 저희가 사용하는 수액들중에서 ringer's solution과 가장 흡사한 수액은 hartmann solution 입니다.

      이외에도 normal saline, 5% dextrose 같은 수액들이 있습니다.

      차이는 전해질의 구성이며 혈액과 가장 비슷하게 되어있는게 hartmann이고 normal saline은 우리 혈액에서 가장 많은 양이온인 Na+과 가장 많은 음이온인 Cl-만 넣어놓은 수액입니다. 5% dextrose는 전해질은 빼고 물에다가 detrose 성분만 넣어놓은거구요.

      감기가 있을 때 수액을 맞는다고 컨디션이 좋아지거나 병이 좋아지지 않습니다.

      수액투여는 수분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하는 처치입니다. 그 안에 물과 전해질 이외에 그 어떤 성분도 들어있지 않습니다.

      물론 비타민이나 아미노산을 함께 투여할 수 있지만 이것 또한 생각하시는 효과들이 있지 않습니다.

      감기때 열이 있게되면 insensible loss라고 해서 땀이나 호흡을 통해서 수분의 소실이 10% 정도 증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걸 보충하기 위해서 수액을 주는거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수액을 주는게 아닙니다.

    •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둘 다 같은 용어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빠른 증상 호전을 기원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수액과 링겔주사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용액의 구성과 사용 목적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수액, 일반적으로 '정맥주사용 생리식염수'라고 불리는 것은 주로 나트륨과 염화물을 포함한 0.9%의 소금물입니다. 이는 인체의 혈액과 비슷한 염도를 가지고 있어, 탈수나 소금 및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생리식염수는 체액을 보충하고, 약물을 희석하여 정맥으로 투여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반면, 링겔주사는 링겔-락테이트 용액이라고도 하며, 생리식염수보다 더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용액에는 나트륨, 염화물뿐만 아니라 칼슘, 칼륨, 그리고 락테이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링겔주사는 생리식염수보다 더 많은 전해질을 포함하고 있어, 전해질 불균형이나 산-염기 불균형을 조절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또한, 수술 중이나 심한 탈수, 저혈압, 화상 환자 등에서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서 일반인 수준에서 둘을 구분하실 필요는 없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