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중산층 소득은 얼마나 될까요?
우리나라의 중산층의 월 평균 소득은 얼마나 될까요? 중산층의 실제로 소득 과 지출이 궁금합니다 어느선이 되어 중산층 이라고 불릴까요?
보통 기준중위소득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을 때 중산층이라고 하는 경우 중위소득 75%~200%범위내 인구를 말합니다. 물론 정확히 구분하는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을 제외한 해당 범위내로 한정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평균적인 부분을 고려하였을때는 100~200%정도가 해당된다고 보시면 될듯 보입니다.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200%는 가수원수에 따라 다른데 4인가구를 기준으로 1150만원이고 1인가구는 445만원정도입니다, 중위소득 100%는 4인가구 기준 570만원. 1인가구 223만원정도 됩니다,
그렇게 4인가구 기준 중산층은 소득이 월 570만 이상되면 중산층으로 볼수 있습니다, 자산의 기준은 지표들마다 차이는 있는데 실제 조사등에 따르면 20억이상 자산을 소유한 경우를 중산층으로 볼수 있습니다,
한국의 중산층은 소득, 자산, 소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정의됩니다.
중산층의 소득 기준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평균 686만원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가구 소득 상위 24% 수준입니다.
중산층 소득 범위는 월 385만원부터 1천20만원까지입니다. 중산층의 순자산은 9.4억 원으로, 우리나라 가구 상위 11% 수준입니다. 부동산 자산은 수도권 중형 아파트를 기준으로 8.4억 원입니다.
중산층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5.6%가 자신이 하위층이라고 인식한다고 합니다. 이는 중산층의 계층 인식이 하향됐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30대, 미혼, 1인 가구 중산층이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낮았습니다.
이처럼 중산층은 소득뿐만 아니라 자산과 부동산을 고려하여 정의되며, 주관적 빈곤감과 상대적 박탈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중산층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없으며 여러 논란이 있습니다. 중산층이란 중위소득이상인 사람을 말한다라고 나와있고 중위소득이란 평균소득 이상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평균소득은 세후 월300정도로 나와있고 그이상 1억이하? 중산층으로 보는것이 맞는것 같은데 우리나라는 후려치기가 심하여 월500벌어도 무시받는 사회로 타락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중산층의 소득은 전체 인구의 중위소득의 50%에서 150% 사이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2021년 기준으로 중위소득이 약 4,500,000원이었으므로, 중산층의 월 소득은 대략 2,250,000원에서 6,750,000원 사이로 추정됩니다.
중산층의 지출은 주거비, 교육비, 의료비, 여가비 등 다양한 항목에 걸쳐 있으며, 이는 경제 상황과 사회적 가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신 데이터는 통계청이나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