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사막의 밝은 별빛 나그네65

분노조절장애라면 어떠헤 고쳐나가야할까요?

아이가 부모님하고 쓸데없이 자주싸우고 점점 감정 쌓이다 폭발해서 이성적인 판단놓고 급발진하는정도면 분노조절장애급인데 이거 어떻게 고쳐나가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분노를 조절하지 못해 폭발하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자신의 화나는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연습을 하게 해 주세요. 어떤 이유로 화가 났다는 식으로 말로 표현하게 해 주시고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 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분노조절장애의 치료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고 합니다.

      분노의 해결을 위해서는 분노의 원인을 탐색하고 적절한 표현방식을 찾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부모님도 잘 관찰해서 도와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즉, 분노의 감정뿐만 아니라 그 기저에 존재하는 비합리적 신념이나 인지체계, 분노를 유발하는 사건이나 대상 등 원인에 대하여 깊이 있게 살펴보고 적절한 대처방식을 학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분노의 감정을 느낄 때 심호흡을 하거나 손등, 손가락 등을 주무르며 긴장을 해소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 목소리톤이 높아질 때 분노의 감정이 증폭될 수 있으므로 톤을 낮추고 침착하게 이야기하도록 노력하거나 분노와 관련된 감정을 적어보고 대상, 분노의 정도 등에 대해서 정리하고 비합리적인 생각이나 행동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해볼 수 있습니다.

      또다른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마음챙기기 등이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감정을 조절하고 안정시키는 법을 알려주시는것이 좋으며

      놀이나 책 역활극을 통해서 이러한부분을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분노조절장애 라면

      제일 먼저 아이 상태를 먼저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병원에서 검사을 받고 치료를 받을 정도로 심하다면 이 상태를 지켜보시면 안되고 즉각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하지만 병원 갈 정도로 심각하지 않은 상태라면

      아이가 스스로 화를 조절할 수 있는 감정 조절 방법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또한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면서 대화를 자주 하며 아이의 분노조절 부분을 고쳐나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할 때 핵심은 자녀의 감정은 존중하고 행동은 통제하는 것입니다.

      존중한다는게 통제하지 않는다는 말과 통하는 것이 아닙니다.

      훈육하는 과정에선 감정을 읽어주지 마세요. 단호히 엄하게 행동을 통제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분노조절 장애를 보인다면 부모님도 같이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르게 되면, 아이의 상태는 더 심각하게 될 수 있답니다

      좀 더 차분해지고, 서로의 감정이 가라 앉았을 때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심리 센터 등에서 상담을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이가 이성적인 판단을 놓을 정도로 분노 조절이 안된다면, 병원에서 상담을 해 보는 게 좋겠습니다

      지금 가장 힘든 사람은 아마도 아이 자신일 겁니다

      아이도 제 자신이 왜 이렇게까지 분노조절이 안되는 지 이해할 수 없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분노조절장애 증상을 보이면은

      한번은 아이의 현 상황에 대하여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 분노조절장애의 현상처럼 보인다면

      아이를 한번 심리치료 등을 받아보는 것이좋을 것 같습니다.